‘불연 방음판’ 경고 10년 전부터 있었다…‘뒷북’에 참사

이호준 2022. 12. 30. 21: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불이 난 방음 터널의 소재가 불에 약하다는 경고는 10년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참사를 미리 막을 수도 있었다는 아쉬움이 나오는 가운데, 국토부는 뒤늦게 아크릴 방음벽 교체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이호준 기잡니다.

[리포트]

10년 전인 2012년, 한국도로공사가 낸 연구보고서입니다.

이번 화재 터널에 쓰인 아크릴과, 다른 재질로 만든 방음벽을 연소 실험을 한 겁니다.

20여 분 뒤 전체의 40%만 태우고 불이 모두 꺼진 다른 재질에 비해 아크릴 방음벽은 대부분이 전소되고도 불이 꺼지지 않았습니다.

이번 화재에서 불덩이가 떨어져 내렸던 이유입니다.

아크릴의 화재 취약성은 3년 뒤인 2015년 국토부가 발주한 연구용역에서도 제기됐습니다.

도로공사는 방음 터널에 아크릴을 쓰면 안 된다는 제안을 부록에 담았습니다.

이후에도 아크릴 방음판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결국, 정책에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도로공사 측은 연구보고서를 국토부에 직접 보고하지는 않았고 공공기관 정보시스템인 알리오를 통해 공개했다고만 밝혔습니다.

[원희룡/국토교통부 장관 : "이 PMMA(아크릴) 소재는 안 쓰는 게 좋겠다는 게 제안이 됐었는데 그때는 어떤 이유인지 아무튼 채택이 안 됐고요."]

국토부는 올 초 감사원 지적이 있고 나서야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감사원으로부터 방음 터널 재질이 안전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고 7월부터 연구 용역에 들어간 겁니다.

1차 결과는 내년 3월 이후에나 나올 예정입니다.

10년 전부터 산하기관에서 화재 위험 경고가 나왔지만, 이를 등한시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단지 실용성과 디자인 등만 고려했지 정작 안전은 등한시하거나 아예 뒷전으로 미뤄 놓았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보입니다."]

국토부는 국가가 관리하는 방음 터널 55곳 중 아크릴을 사용한 곳은 6곳이라며 뒤늦게 전면 교체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 하정현/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고석훈 채상우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이호준 기자 (hojoon.le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