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낳아도 키우기 힘든 부산" 육아·보육 공백 막아야
"원생 분산하고 국공립어린이집 강화할 필요 있다" 지적 나와
부산지역 남성육아휴직 비율 전국 최저 수준…"인식과 산업구조 탓"
전문가 "지역에 맞춘 인구 정책 펼치고 남성육아휴직 등 성평등 인식부터 개선해야"
마지막으로 인구 감소에 따른 부산지역의 육아·보육 공백의 심각성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살펴본다.
▶ 글 싣는 순서 |
① "2030엑스포 향한 힘찬 날갯짓", 부산시 엑스포 유치 '온힘' 쏟는다 ② 축포만 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질 '부울경 특별연합' ③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휘청한 부산 경제'…내년에도 암울 ④ 출산율 곤두박질…'지역 소멸' 눈앞에 다가온 부산 ⑤ "아이 낳아도 키우기 힘든 부산" 육아·보육 공백 막아야 |
아이 낳아도 맡길 곳 없는 부산…'어린이집' 없는 동네도
행정안전부는 부산 동구와 서구, 영도구 등 원도심 3개 지역을 인구소멸 지역으로 지정하고 지방소멸 대응 기금 등 재정적인 지원에 나섰다. 인접한 중구는 유동 인구가 많고 재정자립도가 높다는 이유로 소멸 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전국 광역시 기초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인구가 3만 명대로 내려앉았다.
이처럼 저조한 출산율과 인구 감소에 따라 직격탄을 맞은 곳은 '보육시설'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1년 보육 통계'에 따르면 부산지역 어린이집 시설 수는 지난 2019년 1818개였지만, 2020년 1778개, 2021년 1668개로 계속 줄고 있다.
문을 닫는 어린이집이 늘면서 어린이집이 없는 지역까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부산에서는 중구 광복동과 남포동, 동광동과 부산진구 부전2동 등 6개 지역에는 어린이집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이를 낳아도 '맡길 곳'이 없는 것이다.
부산에서 3세 아이를 키우는 A(30대·여)씨는 "어린이집은 아이가 아프면 언제든지 데리러 갈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엄마들 사이에서는 무엇보다 집 가까운 곳을 선호한다"며 "입소 대기 신청을 해도 봄에 입소를 못 하면 다음 학기인 가을까지 기다려야 하다 보니 조급한 마음이 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보육업계와 관련 전문가들은 소규모 가정 어린이집이 잇달아 폐원하면서 이같은 '보육 공백'이 발생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보육교사 당 어린이 수를 줄이고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대해 보육 서비스를 질적·양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기남 부산시어린이집연합회장은 "보육교사 한 명이 맡는 원생 수를 만 1세 반 기준 지금의 5명에서 2~3명 수준으로 줄이고 어린이집 인가를 받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넓히면 원생 분산과 함께 보육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라질 위기에 놓인 민간어린이집을 확보해서 국공립화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장경은 경희대 아동가족학과 교수 역시 "보육 시설이 점점 줄어든다면, 결국 개인이나 가정에 돌아가는 돌봄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보육 부담은 당연히 커질 수밖에 없다"며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충하고 육아종합센터 등 지원 시설을 강화해 여러 방면에서 육아와 보육 부담을 덜어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남성 육아 휴직은 아직 먼 나라 이야기…맞춤형 대책·인식개선 필요
안정적인 육아와 보육환경을 갖추기 위해서는 성평등 의식 등 인식 개선과 함께 지역 맞춤형 대책이 필수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이 지난 8월 발표한 '부산지역 2030 청년의 젠더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에 거주하는 20대~30대 남녀는 가장 필요한 성평등 정책으로 '남성의 배우자 출산휴가·육아휴직 이용 보장'을 꼽았다.
하지만 실제 부산지역 내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전국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산지역 남성육아휴직자 비율은 23%로 전국 평균인 26.3%를 밑돌았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에는 뒤에서 세 번째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육아휴직자 비율이 가장 높은 울산의 37.8%에 비하면 무려 14.8%p나 낮았다.
전문가는 부산의 낮은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제조업과 중소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구조와 보수적인 조직 문화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설문조사 결과 남성 노동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남성은 사용하지 않는 직장 분위기'(47.5%)로 나타났다. '수입 감소'(40.7%)와 '불이익 우려'(24.6%)보다도 조직 분위기가 남성 육아휴직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혔다.
최정락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일생활연구부장은 "부산지역 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조직문화가 비교적 보수적이라, 남성의 육아휴직 자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또 규모가 작은 조직일수록 육아휴직으로 빈자리가 생기면 운영에 타격이 크기 때문에 휴직에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나 지자체에서 인력을 지원해 주고, 인력과 중소규모 기업을 이어주는 게 좋은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육아휴직의 필요성과 평등한 육아분담에 대한 인식을 바꿀 기회를 늘리고, 가족친화적 기업 분위기가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킨 사례도 많이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부산CBS 정혜린 기자 rinporter@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택시기사 살해 뒤…카드로 600만원 커플링 사고 호텔로
- 거리 청소하며 한푼두푼…8년째 2천만원 기부한 환경공무관들
- 점점 살찌는 한국 남성…"장시간 앉아있는 사무직 위험"
- '50년 전 차붐과 격돌' 펠레와 韓 축구의 깊은 인연
- 실내 수영장서 프리다이빙 하던 수강생 사망…안전요원 없었나
- 특수본, 이임재 전 용산서장 등 4명 검찰 송치
- "기저귀로 아들 코 막고 탈출"…플라스틱 터널이 불쏘시개[영상]
- 4인가구 전기요금 月4천원 오른다…가스는 동결
- 이재명 檢소환 대비하는 민주당…李 신년간담회도 '재검토'
- 한덕수 "중국발 입국자, 입국 전후 코로나 검사…단기 비자도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