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시간을 지킨 작가 조세희 별세 [뉴스 큐레이터]

이정규 기자 2022. 12. 30. 10: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난쏘공)을 쓴 조세희 작가가 2022년 12월25일 저녁 7시께 세상을 떠났다.

"인간의 기본권이 말살된 '칼'의 시간에 작은 '펜'으로 작은 노트에 글을 써나가며, 이 작품들이 하나하나 작은 덩어리에 불과하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파괴를 견디고' 따뜻한 사랑과 고통받는 피의 이야기로 살아 독자들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나는 했었다." 그가 좋아했던 예술가의 장례식과 달리, 조세희 작가의 장례에는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 큐레이터]

12월28일 치러진 조세희 작가의 발인 김정효 기자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을 쓴 조세희 작가가 2022년 12월25일 저녁 7시께 세상을 떠났다. 향년 80.

1942년 경기도 가평에서 태어난 조 작가는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돛대 없는 장선’이 당선돼 1965년 등단했다. 등단한 뒤에도 10년 동안은 소설을 쓰지 않고 잡지사 기자 등으로 일했다. 연작소설인 <난쏘공>의 첫 작품은 1975년작 ‘칼날’이었다. 이어 ‘뫼비우스의 띠’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은강노동가족의 생계비’ 등 12편을 묶어 1978년 소설집 <난쏘공>을 냈다. 서울시 낙원구 행복동 무허가 주택에 사는 도시 빈민 난쟁이 가족과 주변 인물의 삶, 계급 갈등을 담은 소설이다.

조세희는 한때 좋은 작품을 못 쓸 거라 생각한 적이 있었다. 2000년판 <난쏘공> ‘작가의 말’에서 적었다. “나는 육십년대 후반 어느 해에 작가가 되는 것을 포기했던 사람이다. 나는 좋은 작품을 쓸 자신이 없었다.” 시대에 대적해 산다는 것에 두려움도 있었던 것 같다. “스무 살 나이에 내가 제일 좋아했고 지금도 좋아하는, 많은 사람이 ‘인류의 자산’으로 칠 훌륭한 작품을 남긴 또 다른 예술가는 그의 시대가 대주는 고통들과 싸우다 죽고 말았는데 그의 장례식에 모인 사람은 가족을 포함해 여섯 명밖에 안 되었다.”

시간의 파괴를 견딘 것은 독자 때문이었다. “인간의 기본권이 말살된 ‘칼’의 시간에 작은 ‘펜’으로 작은 노트에 글을 써나가며, 이 작품들이 하나하나 작은 덩어리에 불과하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파괴를 견디고’ 따뜻한 사랑과 고통받는 피의 이야기로 살아 독자들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나는 했었다.” 그가 좋아했던 예술가의 장례식과 달리, 조세희 작가의 장례에는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장례식장에 화환을 보냈고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등에서도 추모 페이지를 열었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

*뉴스 큐레이터: <한겨레21>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