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지역대학 위기, 함께 고민해봐야 할 때

정민지 기자 2022. 12. 30. 07: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령인구는 급격히 줄고 수도권 쏠림 현상은 가속화한다.

지역대학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선 결국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나, 이는 원론적인 얘기일 뿐이다.

이 관계자의 말처럼, 최근 지역대학들은 정말 몸부림 중이다.

'부실대학 정리의 기회다' '지방대학 다 폐교시키고 수도권 소재 대학만 운영해야 한다' '지역 소멸은 당연한 결과다' '지방대학 다 문 닫아라' 등 지역대학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댓글들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취재 2팀 정민지 기자

학령인구는 급격히 줄고 수도권 쏠림 현상은 가속화한다. 겨우 확보된 인원 중에서도 중간에 학교를 떠나는, 중도탈락 학생 수는 늘고 있다. 등록금은 14년째 제자리다. 한계 대학의 마지노선은 서서히 올라와 전방위로 옥죄며 위기감을 키운다. 지역대학들의 현주소다.

교육당국도 이 같은 상황을 인지해 대학 관련 규제를 대폭 푸는 기조를 보이고 있지만 우려의 시각은 지우기 힘들다.

자율성은 확대됐으나 지방대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는 얘기와 함께 오히려 지역대학을 보호해줄 울타리가 사라졌다는 걱정에서다.

대학이 스스로 구조조정을 하게끔 유도한 점도 지역대학들에겐 어려운 과제다. 학령인구가 줄어 신입생 확보는 더 어려워지며 수도권 쏠림 현상에 중도탈락 학생들은 늘기 쉽고, 여기에 등록금 동결로 재정난이 가중돼 정원을 쉽게 줄일 수 없는 실정이란 설명이다.

지역대학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선 결국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나, 이는 원론적인 얘기일 뿐이다. "변혁도 하고 몸부림도 치지만 정책만 변화해서는 지방대의 숨통을 트기에 부족하다. 등록금 동결 기조 아래에선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다." 한 지역대학 관계자의 토로다.

이 관계자의 말처럼, 최근 지역대학들은 정말 몸부림 중이다. 각종 혜택을 내걸며 신입생 확보에 열을 올리는 대학들, 위험 수위가 더 높아질 미래를 대비해 통합이라는 강수를 두는 대학들까지 그야말로 악조건 속에서 애쓰는 중이다.

충남대와 한밭대 간 통합의 경우 워낙 두 대학 사이에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만큼 찬반 여론이 쟁쟁하지만, 그만큼 지역대학들이 존폐 기로에 서 있다는 방증이다. 단순히 경쟁력 확보를 넘어 생존을 위한 특단의 조치이기 때문이다.

지역대학 위기와 관련된 기사를 작성하다 보면 종종 비슷한 결의 댓글이 보인다. '부실대학 정리의 기회다' '지방대학 다 폐교시키고 수도권 소재 대학만 운영해야 한다' '지역 소멸은 당연한 결과다' '지방대학 다 문 닫아라' 등 지역대학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댓글들이다.

지나치게 부실한 대학의 거름망 역할 등 일정 부분은 동의하지만, 지역민 입장에선 다소 아쉬운 대목이다. 지역대학의 의미는 단순히 지역 소재 기관 중 하나로 그쳐선 안 된다. 지역인재 양성부터 지역균형발전, 소상공인 등 시민과 상생하는 거점이다. 지역민이라면 지역대학 위기를 함께 고민하는 시선으로 바라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