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닉6는 서울서 사면 손해 봅니다"…이유 살펴보니

김창성 기자 2022. 12. 30. 06: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조금 혜택 최대 900만원… 울릉도는 1800만원
같은 차라도 거주지 따라 천차만별… 소비자 혼란·불만↑
전문가 "남는 지원금, 소진 된 가까운 지역 전환 사용 필요"
전기차 보조금 혜택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다. 사진은 현대차의 전기 세단 아이오닉6. /사진=현대차
아직은 휘발유·경유로 달리는 내연기관차가 압도적이지만 전기자동차로 대표되는 친환경차의 인기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비싼 가격이다. 이는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을 통해 어느 정도 충당이 가능하지만 지역별 지원 금액이 천차만별이고 소진 속도도 달라 소비자 혼란만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똑같은 전기차라도 서울서 사면 손해고, 경북 울릉군에서 사면 이득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같은 차인데 지역 따라 차이 큰 보조금


소비자들은 차를 살 때 가격을 비롯해 브랜드와 디자인·연비 등을 따진다. 전기차도 마찬가지다. 전기차를 사서 친환경에 일조 하겠다는 의지보단 어느 브랜드인지, 디자인과 전비는 어떤지, 보조금 혜택을 통한 실 구매가는 어떤지부터 따지는 게 더 현실적인 모습이다.

그 중에서도 보조금 지급 규모에 따른 실 구매가는 소비자가 전기차를 고르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이는 내연기관차보다 가격이 더 비싸서다.

현대자동차의 전기 SUV 아이오닉5 가격은 5005만~6135만원이다. 후속 모델인 전기 세단 아이오닉6는 이보다 비싼 5200만~6385만원이고 기아의 전기 SUV EV6는 4870만~6245만원, EV6 GT는 7200만원이 책정됐다.

가격이 비싼 만큼 보조금 의존도가 크지만 금액이 균등한 환경부 국고보조금과 달리 각 지자체 보조금은 규모가 천차만별이라 소비자가 같은 차를 사더라도 실 구매가는 지역별로 차이가 난다.

올해 전기차 국고보조금은 차 가격이 5500만원 미만이면 100%, 8500만원 미만은 50%, 8500만원 이상은 미지급 대상이다. 주요 지자체 보조금은 ▲서울시 200만원 ▲부산시 350만원 ▲대구·광주시 400만원 ▲대전시 500만원 등 차이가 크다.

서울에서 아이오닉6 롱레인지 모델을 사면 국고보조금 700만원에 서울시 보조금 200만원을 더해 총 900만원을 지원받는다. 반면 같은 모델을 부산에서 사면 총 1050만원, 대전은 1200만원의 보조금 지원을 받는다.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은 1100만원의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는 경북 울릉군에서 사면 국고보조금 700만원을 더해 최대 180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기차 보조금 혜택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높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 용산역 전기차충전소. /사진=뉴시스


커진 소비자 불만, 해결책은


천차만별인 지역별 보조금 규모에 더해 책정된 보조금의 소진 속도도 지역별로 달라 혜택을 못 받는 소비자 불만이 높고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도 나오는 가운데 사실상 올해는 전기차 보조금 혜택이 종료됐다.

이듬해 상반기 발표되는 공고를 기다렸다가 구매에 나서야 하지만 문제는 내년부터 전기차 국고 보조금 액수가 줄어 들쭉날쭉한 지자체 보조금에 더해 소비자 혜택이 더 쪼그라든다는 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내년부터 전기차 국고보조금을 100만원가량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당 지원금액을 줄이는 대신 전체 지원금액 규모를 늘려 지원금 적용 대상 전기차 대수를 늘리려는 의도다.

보조금 혜택 적용 범위를 넓히는 대신 금액이 줄어드는 만큼 소비자의 전기차 실 구매 비용은 기존보다 다소 높아질 수밖에 없다. 효율적이지 못한 전기차 보조금 정책으로 소비자의 불만이 줄지 않는 이유다.

이에 대해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보조금을 더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 교수는 "현실적으로 전국은 일일 생활권이다 보니 어디든 친환경차 운행이 가능해 환경 개선을 위한 보조금을 환경부와 지자체가 굳이 나눠 지급할 필요성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보조금 소진 속도도 지역별로 다른 만큼 여유가 있는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남은 보조금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도록 하면 전기차 보급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