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푸틴의 절대반지’ 실제 등장…“반지의 제왕이냐” 조롱 쏟아진 이유

송현서 2022. 12. 29. 18: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친러 국가의 수장들에게 새해 선물로 금반지를 건넸다.

AFP 등 외신의 2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지난 26~2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비공식 독립국가연합(CIS) 정상회담을 마친 뒤, 각국 수장들과 금반지를 나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왼쪽은 푸틴 대통령이 8개국 수장과 나눈 금반지, 오른쪽은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금반지를 선물받자마자 그 자리에서 착용한 유일한 정상인 벨라루스 대통령의 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친러 국가의 수장들에게 새해 선물로 금반지를 건넸다.

AFP 등 외신의 2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지난 26~2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비공식 독립국가연합(CIS) 정상회담을 마친 뒤, 각국 수장들과 금반지를 나눴다.

CIS는 과거 소련을 구성했던 15개국 중 우크라이나와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을 제외한 친러 성향의 협력체다.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금반지를 선물 받은 사람들은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8개국 수장이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8개국 수장과 함께 나눠 낀 금반지

푸틴 대통령이 선물한 금반지에는 CIS 앰블럼과 함께, ‘Happy New Year(해피 뉴 이어)2023’이라는 문구 및 CIS 정상회담이 열린 장소를 기념하기 위한 ‘Russia’(러시아) 글자가 새겨져 있다.

반지를 나눈 8개국 수장 중에서도 푸틴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알렉산더 루카센코 벨라루스 대통령의 손에 금반지가 끼워진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루카센코 대통령은 선물을 받은 사람 중 가장 먼저, 유일하게 반지를 바로 착용해 더욱 눈길을 끌었다.

영화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사우론의 절대반지 자료사진

일각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행보가 영화 ‘반지의 제왕’ 속 절대 악으로 등장하는 ‘사우론’을 떠올리게 한다며 조롱했다. 영화 속 ‘사우론’은 세상을 지배하기 위해 인간 왕들에게 탐욕이 담긴 반지 9개를 나눠주고 노예로 삼는다.

올렉시 곤차렌코 우크라이나 하원 의원은 트위터에 “푸틴은 ‘21세기의 히틀러’에 싫증을 느끼고 ‘반지의 제왕’ 속 강력한 사우론이 되기로 결심했다”고 비꼬았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지난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전쟁이 시작된 뒤, 러시아를 ‘반지의 제왕’ 속 사우론의 왕국인 ‘모르도르’(어둠의 땅), 러시아군을 사우론의 군대인 ‘오크’라는 별칭으로 불러왔다.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금반지를 선물받자마자 그 자리에서 착용한 유일한 정상인 벨라루스 대통령의 손

러시아 내부에서도 조롱의 목소리가 나왔다. 러시아 정치 평론가 율리아 라티니나는 푸틴 대통령이 “무기력(powerlessness)의 반지”를 나눠줬다면서 “이 반지를 끼는 지도자가 있는 곳은 미치광이가 통치하는 어둠이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반지에 지나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그저 새해 선물일 뿐”이라면서 “푸틴 대통령이 ‘9번째 반지’를 끼고 다니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휴전협상? 우크라이나 점령지 4곳 병합 인정부터”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이 동부 돈바스 지역의 최대 격전지인 도네츠크주(州) 바흐무트와 루한스크주 크레미나 등지에서 전투를 이어가는 가운데, 양측의 평화협상은 진전되지 않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평화 제안에 대해 “우크라이나 내 4곳 지역이 러시아에 병합된 소위 ‘새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오른쪽) 우크라이나 대통령. 타스·EPA 연합뉴스

러시아는 지난 9월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4곳 점령지에서 주민투표를 열고 찬성 우세로 러 연방 병합을 발표했다. 그러나 헤르손의 경우 한 달 만인 10월 러시아군이 후퇴하면서 현재 우크라이나군이 통제하고 있다.

러시아는 평화협상을 위한 선제 조건으로 병합된 점령지 4곳을 우크라이나가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우크라이나는 결단코 영토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을 강조해왔다.

도리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현재 점령지 4곳뿐만 아니라 2014년 점령한 크름반도(크림반도)까지 모두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평화협상은 평행선을 이어가고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