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 30% 먹고사는 게 우선… 13%는 저축 불가능"
국내 금융소비자 10명 중 1명 이상이 소득보다 지출이 많아 저축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의 86%를 고정비로 소비하고, 여윳돈은 68만원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3'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서울, 수도권 및 전국 광역시에 거주하고 본인 명의의 은행을 거래하는 만 20세~64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결과를 분석했다.
◇월평균 가구소득 489만원… 절반 소득 30%도 저축 못해=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소비자의 월 평균 가구소득은 489만원으로 이중 86%(421만원)는 매월 고정된 소비·보험·대출상환·저축납입 등으로 이중 여윳돈은 68만원에 그쳤다. 고정 저축·투자금 및 잉여(여윳돈)를 모두 저축한다고 가정했을 때 평균 저축 여력은 소득의 30.9%수준인 150만원 정도였다. 금융소비자의 절반 가량(45%)은 저축 여력이 소득의 30%를 밑돌고, 특히 12.7%는 소득보다 지출이 커 저축이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올해의 재정·경제적 목표를 묻는 질문에 금융소비자들의 17.9%는 당장 먹고 사는 문제 해결이 우선, 13.4%는 재정 목표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런 인식은 이른바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저축 여력이 부족해 미래를 대비할만한 여유가 많지 않은 것으로 추측됐다.
◇수익률 쫓은 가상화폐 투자자 '10%이상 누적 손실'= 금융소비자 10명 중 8명이 가상화폐 투자를 경험했거나 고려한 적이 있다고 응답해 가상화폐 투자 열풍을 확인했다.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관심은 '수익률 기대' 때문이었으나, 투자 중단 이유로 '수익률 하락'이 가장 높게 응답돼 기대와 현실 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투자 경험자의 71.1%는 누적 수익률이 10% 이상 손실로 +10% 이상 수익자보다 2.7배 더 많았다.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지식은 2.6%가 '잘 앎', 17.6%가 '약간 앎'라고 응답해 관심에 비해 지식수준은 낮았으며, 투자 경험자조차 '잘 앎'의 응답이 4.3%에 그쳐 체계적이고 신중한 접근이 아닌 '묻지마 투자'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거래 기간·이용빈도로 주거래은행 결정= 금융소비자는 거래하는 여러 은행 중 본인의 금융거래 규모, 빈도 등을 고려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한 곳을 '주거래은행'이라고 정의했다. 주거래은행 한 곳의 거래 중요도는 61.1%(거래은행 총 합 100%)로 금융 거래 시 심리적·물리적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다. 또한 거래 규모보다 '거래 기간과 이용 빈도'를 우선 고려해 주거래 여부를 판단했다. 이는 거래 규모·기여도에 기반한 금융기관의 로열티 관리 기준과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금융소비자가 향후 신규 금융기관과 거래를 시작할 의향은 51.6%, 기존 거래 기관을 이탈(중단·감소)할 의향은 54.0%로 신규 및 이탈 의향 모두 절반을 넘었다. 핀·빅테크는 단기적으로 1년 내 거래 의향이 높은 반면, 전통 금융기관은 장기적으로 노후자금 관리를 위한 거래 의향이 높았다.
금융기관과 거래를 강화하거나 이탈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오프라인 채널의 이용 편리성'이었다. 특히, 모바일·인터넷 채널의 이용 편리성은 거래 강화에, 영업점 이용의 불편함은 거래 이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10명 중 8명 모바일 앱 이용= 은행, 증권, 보험 등 업권과 무관하게 금융소비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금융 채널은 '모바일 앱'이었다. 최근 6개월 내 은행 모바일 앱 이용자는 82.1%로 지점 이용자보다 2.2배 많았다. 특히 지점 이용자의 66.2%가 분기 1회로 가끔 방문하는 것에 비해 모바일 앱 이용자의 84.0%는 주 1회 이상 매우 빈번하게 접속해 이용 빈도에도 차이를 보였다. 반면 대면 채널 이용자는 지점 방문이 필수적인 업무 처리 뿐 아니라 '믿고 안심할 수 있는 거래', '추가 혜택 기대' 때문에 지점을 방문한다고 응답해 대면채널의 가치를 차별적으로 인식했다. 또한 '안심, 신뢰의 심리적 의존'은 베이비부머세대뿐만 아니라 Z세대에서도 높은 응답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윤선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업권 간 경계가 없는 치열한 경쟁 여건과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불황 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금융소비자의 변화를 이해하고 예민하게 반응해야할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고 밝혔다.문혜현기자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준표, 이재명·김경수 다 때렸다 “감옥 다녀오면 파렴치범도 민주화 운동을…”
- 옷장 속 택시기사 시신, 여친이 고양이 사료 찾다가 발견했다
- "잡혀가도 히잡 안 쓸 것"…이란 20대女, 목숨걸고 체스대회 나왔다
- "대출 나오지 않았더라면, 매일밤 피눈물"...폭발한 `빌라왕` 피해자들
- `사면·복권` MB, 벌금 82억도 면제…예우는 경호·경비만 가능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