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본부 "3분기 노동생산성 작년 대비 3.5%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산업 전체 노동생산성지수(부가가치 기준)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서비스업은 내수회복으로 부가가치 증가율이 확대되고 고용 증가로 인해 노동투입이 반등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둔화했다.
전산업에서 부가가치는 3.8%, 노동투입은 0.3% 증가하면서 노동생산성이 개선됐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노동생산성과 부가가치는 같은 기간 각각 8.1%, 8.6%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산업 전체 노동생산성지수(부가가치 기준)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산성본부(KPC)가 29일 발표한 '2022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 결과'에 따르면 전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지난해 3분기보다 3.5% 늘어난 117.7로 집계됐다. 노동생산성지수는 노동투입량에 대한 산출량(부가가치 및 산업생산) 비율로 노동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다.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인한 생산·수출 둔화로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둔화했다. 고용 감소에 따라 노동투입 감소가 나타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둔화했다. 반면에 서비스업은 내수회복으로 부가가치 증가율이 확대되고 고용 증가로 인해 노동투입이 반등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둔화했다.
전산업에서 부가가치는 3.8%, 노동투입은 0.3% 증가하면서 노동생산성이 개선됐다. 건설투자가 감소했지만 정부소비, 수출 증가율이 둔화하면서 부가가치가 늘었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129.7이다. 작년 동기보다 2.6% 늘었다. 부가가치는 2.4% 증가했다. 노동투입은 근로시간이 증가했지만 근로자 수가 감소하면서 0.2% 감소했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노동생산성과 부가가치는 같은 기간 각각 8.1%, 8.6% 증가했다. 근로시간이 줄었지만 근로자 수가 더 크게 늘어나면서 노동투입이 0.8% 늘었다. 수출 둔화에도 디지털 전환 수요로 인해 부가가치 증가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화학물질·화학제품 노동생산성과 부가가치는 작년 동기 대비 7.4%, 7.6% 감소했다. 석유화학 수출 감소와 수입 물가 상승으로 부가가치가 감소했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작년 동기보다 3.9% 증가한 116.6으로 집계됐다. 부가가치와 노동투입은 각각 4.7%, 0.7% 상승했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KT, 5G 3관왕...속도·커버리지·품질 모두 1위
- [영상] 검은 연기 솟구치는 과천 제2경인고속도로
- 카카오 블랙아웃, 소상공인 1인당 최대 5만원 보상
- 1년 내내 흘러내린 증시…코스피 연초 대비 25% 하락
- 이탈리아 '발칵'...中→밀라노 승객 절반 코로나 확진자였다
- "반지의 제왕 '사우론'인가"…푸틴, 친러 정상과 9개 금반지 나눴다
- 美·中, 전기차 시장 양강 구도…존재감 없는 韓
-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3단계 등급제 도입···글로벌 기업 진출 가능해져
- 구현모 KT 대표, 국민연금 연임 반대에 '공정한 경쟁' 강조
- 3나노 반도체 전쟁 시작…TSMC "양산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