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통신품질 공개… SKT 선두속 KT `큰폭 개선`·LGU+ `내년 승부수`

팽동현 2022. 12. 29.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가지역 주요 읍·면까지로 확대
SKT, 전반적으로 우수한 기록내
커버리지 투자늘린 KT 101% ↑
LG유플, 내년 속도경쟁 본격가세

5G 통신 품질 전반에서 SK텔레콤이 선두를 유지했다. KT는 5G 투자로 가장 큰 폭의 개선을 이뤘다. LG유플러스는 추가 할당받은 주파수를 활용해 내년부터 승부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가 '2022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올해 5G 서비스 점검·평가에선 대상 지역을 전국 85개 시 전체 행정동과 주요 읍·면 지역까지 확대했고, 중소시설 대상으로도 무작위로 표본을 선정해 조사했다.

먼저 올해 10월 기준 5G 옥외 커버리지 면적은 SKT 3만4241.6㎢, KT 3만3185.1㎢, LGU+ 3만2210.8㎢로 조사됐다. 전년 동월보다 각각 54.8%, 101.8%, 74.5% 늘어난 수치다. 이달 기준으론 SKT 4만1752.5㎢, LGU+ 4만249.7㎢, KT 4만74.6㎢ 순으로 상향평준화가 이뤄졌다.

백화점·대형병원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 내부(인빌딩)의 경우 4505곳 중 5G 이용 가능 시설 수는 3사 평균 4492개(99.7%)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다. KT 4505개, LGU+ 4505개, SKT 4466개로 회사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시설 내 5G 접속가능 비율(안정적 접속 면적)은 3사 평균 96.5%로 전년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다만 올해 새롭게 중소시설 건물을 임의로 선정·측정한 결과는 차이가 컸다. 중소시설의 5G 접속가능 비율은 평균 78.2% 수준으로, 다중이용시설(96.5%)에 비해 18.3%포인트 떨어져, 이용에 불편을 느낄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통신사별로는 SKT 82.8%, LGU+ 76.4%, KT 75.5%다. 조사 대상 142개 중소시설 건물 중 5G 접속 가능 비율이 90% 이상인 건물은 3사 평균 53개(37.1%)뿐이었다.

지하철의 경우 전체 역사 1063개 중 3사 평균 1041개 역사(98%)에 5G 인프라가 구축됐다. 전국 34개 노선 5G 접속가능 비율은 평균 93.7%로 전년 대비 4.4%포인트 향상됐다. 하지만 5G 망 구축이 완료되지 않은 신분당선(58.8%)과 서해선(6.6%)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고속도로의 경우 전체 41개 고속도로 228개 구간 중 3사 평균 223개 구간(98%)에 5G를 구축, 교통량이 많은 4개 노선의 5G 접속가능 비율은 평균 95.7%로 나타났다.

이통 3사의 5G 서비스 품질을 살펴보면, 5G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평균 896.1Mbps 수준으로 전년보다 11.8%(94.62Mbps) 향상됐다.

통신사별로는 SKT 1002.27Mbps, KT 921.49Mbps, LGU+ 764.55Mbps이다. 각각 전년 대비 7.8%, 20.9%, 7.4% 빨라진 것으로, 특히 KT의 향상 폭이 눈에 띈다. 5G 이용 중 LTE 전환율은 다운로드 시 SKT 0.98%, LGU+ 1.32%, KT 1.72%이며, 지연시간은 SKT 15.75ms, KT 17.21ms, LGU+ 20.7ms로 조사됐다.

이번 5G 품질 평가에 대해 SKT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기록을 낸 점을 내세웠다. KT는 한 해 동안 투자의 결실로 기존 강점인 다중이용시설뿐 아니라 속도 등 품질에서도 가장 큰 폭의 개선을 이룬 점을 강조했다. LGU+는 다중이용시설과 함께 KTX·SRT·고속도로에서 강점을 보였으며, 추가로 할당 받은 20㎒ 폭 주파수를 활용하는 내년부터 속도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커버리지와 품질이 향상됐지만 5G 이용자의 체감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려면 통신 3사의 적극적인 5G 망 투자 확대가 중요하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를 통해 이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사가 투자를 확대해 망 구축 및 품질 경쟁을 촉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