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떠받치던 소비인데…외식·여행, 가장 많이 줄었다 [얼어붙은 소비]

2022. 12. 29. 11: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2년 11월 산업활동동향’
숙박·음식점등 생산 지난달 대비 4.0% 줄어
쇼핑도 사라져…의복·화장품 판매 모두 감소
내년 상반기까지 최악의 상황 치달을 것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숙박·음식점 등 생산이 지난달 대비 4.0% 줄었다. 사진은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 가격표. [연합]

고물가·고금리 여파가 본격적으로 휘몰아치며 소비가 얼어붙기 시작했다. ‘쇼핑’으로 대표되는 소매판매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고, 외식 등 대면소비도 위축 국면에 들어섰다. 소비심리도 급격히 위축되며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다.

우리 경제는 코로나19 사태 때는 수출, 그 이후엔 소비가 지탱했으나 내년엔 두 요인 모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가 내년 초 또다시 인상될 것이 확실시되면서 복합 경제위기가 내년 상반기에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숙박·음식점 생산은 전월 대비 4.0%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은 대표적인 대면소비지표다. 코로나가 여파가 남아 있던 지난해 12월(-10.9%)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벌써 2개월 연속 감소다. 예술·스포츠·여가도 5.0% 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이 지난달과 비교해 3.5% 줄었다. 숙박업은 7.5% 격감했다. 숙박업은 지난 8월(-1.4%)부터 꺾이기 시작해 벌써 4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외식·여행경기가 위축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태원 참사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태원 사고 영향을 정량적으로 따질 수는 없으나 숙박·음식 등 개인서비스업 생산 부문이 감소했기 때문에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소매판매도 상황이 좋지 않다. 의복 등 준내구재(-5.9%), 가전제품 등 내구재(-1.4%), 화장품 등 비내구재(-0.5%) 판매가 전월 대비 모두 줄었다. 올해 8월 4.4%로 깜짝 반등한 이후 벌써 3개월째 위축을 면치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와 관련해 “소매판매는 내구재 및 준내구재, 비내구재가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큰 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태원 참사 등 돌발 요인과 함께 고물가·고금리도 전반적인 영향을 미쳤다. 물가는 올해 7월 6.3%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그 이후에도 급격한 하락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다음해 1분기에도 상황은 비슷할 전망이다. 전년 동월비로 나타나는 물가는 기저효과 영향이 상당 부분 존재하는데 올해 1월과 2월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올해 전반에 비해 비교적 낮다.

고물가 현상과 금리인상이 이어지면 이어질수록 실질소득은 떨어진다. 소비여력이 사라진다는 소리다.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2.8% 감소했다. 3분기 기준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이었던 2009년도 3분기(-3.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실질소득이 줄었다.

인플레이션이 이어지면 금리인상도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고, 자산시장 회복 속도와 강도도 더뎌질 수 있다.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이 대두하고 있고 기획재정부는 경제침체를 걱정하고 있지만 물가당국 입장은 다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23일 “내년 기준금리는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나갈 수 있도록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운용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셈이다.

소비가 냉각기로 들어서는 가운데 수출경기도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제조업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재고가 쌓이는 속도를 보면 수출침체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1.4% 늘었다. 재고와 출하비율인 재고율은 127.6%로, 전월 대비 4.8%포인트 상승했다. 출하가 3.8% 줄었는데 재고는 6.2% 늘었기 때문이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전월 대비 0.9% 상승했으나 호조세라고 보기 어렵다. 98.2%로, 여전히 100% 아래다. 특히 수출 주력인 반도체에선 오히려 12.0%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73.1%에 불과하다.

기재부는 “수출 감소세 지속, 반도체 재고 누적, 화물연대 집단 운송 거부 여파 등이 향후 부담 요인”이라며 “규제혁신, 재정·금융 지원 등을 통해 수출·투자 등 민간 활력을 제고하고, 신성장 4.0 전략 등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소비와 수출, 성장의 두 축이 모두 휘청이면서 내년 경제는 상반기 큰 위기를 맞을 전망이다. 정부는 이에 상반기에 재정 집행을 집중해 경기 위축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내년 우리 경제가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적극적인 경기 대응을 위해 상반기 중 역대 최고 수준인 65% 이상 신속히 집행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