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인 칼럼] 제발 이 옷을 사지마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ESG가 세계적인 화두가 됐다.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는 기업경영에 있어 환경보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지배구조 등의 투명성을 높여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과 나아가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이다.
아울러 생활 속에서 환경보전과 사회적 약자의 보호, 기업의 경영 투명성에 대한 감시도 ESG의 중요한 활동영역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SG가 세계적인 화두가 됐다.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는 기업경영에 있어 환경보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지배구조 등의 투명성을 높여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과 나아가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이다. ESG는 투자회사들이 기업의 재무적요소만이 아니라 비재무적 요인들에 기인한 기업의 리스크나 가치하락을 줄여 투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시작됐다.
세계 최대 투자회사인 블랙록(BlackRock) 래리 핑크 회장이 2020년부터 3년간 기업 CEO 및 일반투자자에게 보낸 연례 서신에서 ESG등급을 일정 수준 이상 획득하지 못하면 블랙록의 투자를 받지 못할 것이라는 선언은 전세계적으로 ESG를 강제하는 기폭제가 됐다. 그가 제안한 ESG의 핵심 메시지는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저탄소정책의 참여, 원료의 수급과정 등에서 사회에 해악을 끼치지 않는 등 사회적 책임의 이행, 기업 지배구조의 정상화 및 투명성 확보다.
미국의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는 자사 제품을 홍보하며 제발 이 옷을 사지마라(Don't buy this jacket)라는 문구를 붙이기도 했다. 플라스틱 병을 폴리에스터로 재활용해 옷을 만들고 전체 면제품을 유기농 목화의 순면으로 생산하는 등 무엇보다 친환경 의류를 생산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파타고니아가 이러한 홍보를 하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친환경 의류라도 적게 소비하는 것이 환경보전에 기여하는다는 철학이 배어있는 것이다. 파타고니아는 매출의 1%를 환경보호에 기부하는 등 환경보전을 위해 사업을 한다는 경영철학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파타고니아 사례는 ESG 기업경영의 모범사례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이제 ESG는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와 사회 전반의 핵심 가치로 자리하고 있다. 지속가능 경영을 통한 수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방향이자 당위적인 과제가 됐다. 우리나라도 관계부처 합동으로 K-ESG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으며 환경부도 ESG의 중요 요소인 환경부문을 평가하기 위한 환경성 평가체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한 바 있다.
ESG가 가져오는 변화의 세상은 어떤 것이고 우리 각자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우선 기업은 ESG의 실현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영만이 생존의 길이 될 것이다. 이제 기후위기는 절박한 생존의 문제가 됐다. 기업들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생산과 경영방식의 변화와 선제적 투자를 통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지 않고는 생존경쟁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다. 국내적으로는 환경과 공정거래에 관한 법규 등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아울러, 녹색분류체계와 공시 등의 추가적인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이를 이행해야 한다. 국제적으로는 EU와 유럽 및 미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와 공급 및 인권실사법등의 규범과 표준 등을 따라야 하는 등 미래 변화에 철저히 대응하고 필요한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 대기업들은 중견·중소기업들의 어려움을 헤아려 함께 풀어가야 한다. 유럽과 미국 등 환경 선진국들은 환경을 자산으로 새로운 무역 장벽을 만들고 있고 선진국 중심의 투자사들의 주요 평가기준 등은 우리 기업들에게 여전히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어 이를 극복해야 하는 것도 과제다.
정부는 기업의 ESG 리스크를 줄이고 관리체계를 고도화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제적 정비와 예산 등 관련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EU나 유럽국가들처럼 기업의 공급망 투명성과 노동환경과 인권존중의 건강한 ESG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 기업의 규모 및 업종 등에 부합하는 보다 정교한 ESG 평가 체계의 정비도 필요하다.
사회와 개인은 지속가능한 소비의 주체다. 이는 기업의 생산과 경영 방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협력의 주체다. 아울러 생활 속에서 환경보전과 사회적 약자의 보호, 기업의 경영 투명성에 대한 감시도 ESG의 중요한 활동영역이다. 예컨대 1회용컵의 사용을 줄이는 노력도 ESG의 실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ESG는 결국 인간과 자연을 살리는 근본적인 자연관의 변화를 요구한다. 인간과 자연의 연결성과 상호호혜적 관계에 대한 깊은 안목과 성찰, 실천적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X로 죽이고 싶다"…尹, '신변 위협 글' 올라와 '경찰 추적 중' - 대전일보
- 세종시, 정원박람회 '2026년 가을' 공식화…최 시장 "예산 통과" 호소 - 대전일보
- 尹대통령 "당정이 힘 모아서 국민 편에서 다시 뛰자" - 대전일보
-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쏠림 심화에… 지역 대학 위기감 커진다 - 대전일보
- 학교서 스마트폰 사라지나… 교내 사용 금지법 '속도' - 대전일보
- 대전시-국회의원 조찬 간담회…국비 확보 초당적 협력 - 대전일보
- 95만 원 빌려주고 '1100만 원' '꿀꺽'…불법 대부 조직 구속 기소 - 대전일보
- 박단, 여야의정 첫 회의에 "전공의·의대생 없이 대화?…무의미" - 대전일보
- 尹 “임기 후반기, 소득·교육 양극화 타개 위한 전향적 노력" - 대전일보
- 민주, '김여사 특검법' 수정안 오는 14일 제출키로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