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왜 겨울 화단마다 꽃양배추가 있을까/식물세밀화가

2022. 12. 29. 05: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식물의 삶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은 식물의 시간을 따르는 일과 같다. 식물이 바삐 생장하는 봄과 여름에는 나 역시 식물의 생장 과정을 관찰하느라 바쁘다가도 많은 식물이 휴면에 들어가는 겨울이 되면 조금의 여유가 생긴다. 그렇다고 겨울에 관찰할 식물이 아예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이 계절의 야외 화단은 우리 상상만큼 황량하지만은 않다. 형형색색의 빛깔을 내어 주는 꽃양배추 때문이다. 다른 풀들이 추위에 잠을 자는 동안에도 이들은 매서운 추위 속 도심 거리를 화사하게 만들어 준다.

꽃양배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들은 양배추의 일종이다. 야생겨자로부터 개량된 케일과 양배추를 관상용으로 발전시킨 식물이 바로 꽃양배추다.

꽃양배추는 관상을 위해 육성됐다. 도쿄화이트, 케일그린, 퍼플, 핑크카모메(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

이맘때 화단의 꽃양배추를 본 사람들은 두 가지 질문을 던진다. 하나는 굳이 왜 예쁘지도 않은 이 식물을 화단에 심는 것인지,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이것이 양배추의 일종이라면 먹어도 되는 것인지에 관해서. 꽃양배추를 본 사람들이 이 이상의 질문을 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들을 화단에 심는 이유는 간단하다. 춥고 긴 겨울 동안 도심을 다채로운 색으로 밝혀 줄 만한 거의 유일한 풀이기 때문이다.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꽃양배추는 -15도까지 견딜 만큼 추위에 강건하다. 이들이 없다면 우리나라 중북부 지역의 겨울 화단은 그저 흙빛이거나 맥문동과 같은 풀의 녹색 잎만이 자리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길고도 매서운 겨울 추위를 견딜 수 있는 식물은 많지 않다. 소나무, 향나무, 측백나무류가 도시 화단에 많은 것은 이들이 특별히 아름다워서가 아니라 겨울 동안에도 녹색 잎을 내어 황량한 풍경을 그나마 푸르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꽃양배추의 잎은 흰색, 노란색, 보라색, 분홍색, 자주색 등으로 다채롭다. 잎의 색뿐만 아니라 형태도 다양해 케일로부터 개량된 가느다란 잎부터 양배추로부터 변형된 둥그스런 잎이 있으며 주름진 모양도 각기 다르다. 화단에 심긴 꽃양배추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잎과 줄기의 다양성과 가능성에 놀라기 마련이다.

세계에서 꽃양배추를 가장 사랑하는 나라는 일본이다. 유명 품종 중 대다수가 일본에서 육성됐다. 1929년 미국 농무부는 아시아 농업 탐사팀을 만들었다. 이때 한국과 일본, 중국에 파견된 원예학자 하워드 도셋은 일본에서 꽃양배추를 발견하고는 그 특별함에 매료돼 미국으로 가져갔고, 이를 시작으로 1936년부터 미국에서 꽃양배추가 대량으로 재배됐다. 늘 그렇듯 역시 이들도 미국에서 비로소 산업화된 것이다. 그렇게 꽃양배추는 추운 겨울 풍경을 밝혀 주는 세계적인 정원 식물이 됐다. 5년 전 겨울 일본 교토부립식물원에서 열린 꽃양배추 축제에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한국에서 보기 힘든 일본 고유 품종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물론이고 이들을 어떻게 식재하는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프로젝트도 진행됐다. 꽃양배추는 한 개체씩 식재되는 게 아니라 수십 개의 개체를 그룹 지어 식재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식재 방법에 따라 결과 이미지가 천차만별이다.

일반 꽃양배추보다 작은 크기로 육성돼 절화용으로 이용되는 선셋화이트.

원예가와 조경가가 이토록 꽃양배추에 진심인 이유는 일 년 중 약 4개월이란 긴 시간 동안 화단의 주역이 되는 식물이기 때문이다. 원예가와 조경가들은 겨울에 사람들을 정원으로 이끄는 방법에 관해 오래도록 고민해 왔다. 우리나라 사립식물원의 경우 관람객이 없어 수익이 나지 않는 겨울 동안 아예 식물원 문을 닫고 인력을 줄이는 곳도 있다. 이런 우리에게 교토부립식물원의 꽃양배추 축제가 힌트가 될지도 모르겠다. 동북아시아에서 꽃양배추를 빼놓고는 ‘겨울 도시 화단 조성’을 논하기 어렵다.

원예가와 조경가의 고민과는 별개로 화단의 꽃양배추를 본 사람들이 가장 관심 갖는 것은 이들을 먹을 수 있는지에 관해서다.

꽃양배추는 먹어도 된다. 다만 식용 양배추처럼 맛과 식감을 중심으로 육성된 것이 아니라 색과 형태 위주로 육성됐기 때문에 맛은 없다. 꽃양배추를 먹어 봤다는 지인의 말로는 맛이 쓰다고 하고, 또 누군가는 품종명에 ‘도쿄’가 들어간 시리즈만큼은 맛이 꽤 달다고도 한다. 굳이 이런 꽃양배추를 먹고자 한다면, 채소를 재배하듯 안전한 환경에서 씨앗이나 모종으로부터 재배한 경우에만 식용해야 한다. 도심 화단에 심어진 개체는 증식 과정에서 약을 치거나 재배 과정 중 중금속에 오염됐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절대 먹어선 안 된다.

겨울의 황량한 도심 거리를 화려하게 밝혀 주는 꽃양배추를 보면 우리 곁에서 관상을 위해 증식된 화훼식물과 식용을 위한 채소, 과일의 경계는 그저 인간 중심의 분류 체계일 뿐임을 깨닫게 된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