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모습은 정직하다[이은화의 미술시간]〈247〉
이은화 미술평론가 2022. 12. 29.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상화를 그릴 때는 모델의 정면이나 측면을 그리기 마련이다.
그러나 덴마크 화가 빌헬름 함메르쇠이는 뒷모습을 그렸다.
화가는 왜 모델의 뒷모습을 그렸던 걸까? 코펜하겐 출신의 함메르쇠이는 시적이고 고요한 회색 톤의 초상화와 실내 풍경화로 유명하다.
그래서 화가도 아내도 뒷모습을 선호했을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상화를 그릴 때는 모델의 정면이나 측면을 그리기 마련이다. 그러나 덴마크 화가 빌헬름 함메르쇠이는 뒷모습을 그렸다. 그의 그림 속 인물들은 최소한의 가구만 있는 실내에서 등을 돌리고 있기 때문에 정체도 표정도 알 수 없다. 화가는 왜 모델의 뒷모습을 그렸던 걸까?
코펜하겐 출신의 함메르쇠이는 시적이고 고요한 회색 톤의 초상화와 실내 풍경화로 유명하다.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 외국을 다니긴 했으나 고향인 코펜하겐에 평생 살며 자신의 집과 주변 풍경을 화폭에 담았다. 이 그림은 1898년부터 11년간 살았던 스트란가데 30번지 아파트의 실내를 보여준다. 나무 의자에 앉은 여인은 오른팔을 등받이에 살짝 걸친 채 느슨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탁자 위에는 꽃 모양의 하얀 그릇이 놓여 있다. 뒷모습이라 하녀인지 부르주아 여성인지는 알 수 없다. 회색과 갈색 톤이 화면 전체를 지배하고 있어 차분하고 고요하다. 조금 우울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고 인간의 외로움이나 고독을 표현했다고 속단하긴 이르다. 목덜미를 훤히 드러낸 여성의 머리는 부스스하고, 블라우스도 벌어져 있다. 관능적인 표현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제목이 제시하듯 여자는 하루 일과를 끝내고 혹은 그사이에 휴식을 취하는 중이다.
그림 속 모델은 화가의 아내 이다다.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정신 불안증 때문인지, 우울한 눈빛과 깊은 슬픔은 그녀의 얼굴이 드러난 초상화 대부분에서 발견된다. 함메르쇠이가 아이를 갖지 않은 것도, 아내의 뒷모습을 주로 그린 것도 바로 그 때문으로 보인다.
앞모습은 인물의 정체도 표정도 감출 수가 없다. 그래서 화가도 아내도 뒷모습을 선호했을 것이다. 어떤 면에서 뒷모습은 앞모습보다 정직하다. 꾸밀 수가 없기 때문이다. 어쩌면 남편은 아내가 진짜 쉬고 있을 때를 포착해 그렸을 수도 있다. 느슨한 이다의 뒷모습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워 보이는 이유다. 100여 년 전 그림이 우리에게 묻는 듯하다. 당신의 뒷모습은 어떠냐고.
코펜하겐 출신의 함메르쇠이는 시적이고 고요한 회색 톤의 초상화와 실내 풍경화로 유명하다.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 외국을 다니긴 했으나 고향인 코펜하겐에 평생 살며 자신의 집과 주변 풍경을 화폭에 담았다. 이 그림은 1898년부터 11년간 살았던 스트란가데 30번지 아파트의 실내를 보여준다. 나무 의자에 앉은 여인은 오른팔을 등받이에 살짝 걸친 채 느슨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탁자 위에는 꽃 모양의 하얀 그릇이 놓여 있다. 뒷모습이라 하녀인지 부르주아 여성인지는 알 수 없다. 회색과 갈색 톤이 화면 전체를 지배하고 있어 차분하고 고요하다. 조금 우울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고 인간의 외로움이나 고독을 표현했다고 속단하긴 이르다. 목덜미를 훤히 드러낸 여성의 머리는 부스스하고, 블라우스도 벌어져 있다. 관능적인 표현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제목이 제시하듯 여자는 하루 일과를 끝내고 혹은 그사이에 휴식을 취하는 중이다.
그림 속 모델은 화가의 아내 이다다.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정신 불안증 때문인지, 우울한 눈빛과 깊은 슬픔은 그녀의 얼굴이 드러난 초상화 대부분에서 발견된다. 함메르쇠이가 아이를 갖지 않은 것도, 아내의 뒷모습을 주로 그린 것도 바로 그 때문으로 보인다.
앞모습은 인물의 정체도 표정도 감출 수가 없다. 그래서 화가도 아내도 뒷모습을 선호했을 것이다. 어떤 면에서 뒷모습은 앞모습보다 정직하다. 꾸밀 수가 없기 때문이다. 어쩌면 남편은 아내가 진짜 쉬고 있을 때를 포착해 그렸을 수도 있다. 느슨한 이다의 뒷모습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워 보이는 이유다. 100여 년 전 그림이 우리에게 묻는 듯하다. 당신의 뒷모습은 어떠냐고.
이은화 미술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동훈 “돈봉투 부스럭 소리까지 들려”…노웅래 “녹취 있다고 언론플레이”
- 尹 “北 어떤 도발도 확실히 응징 보복…핵 있다고 두려워 말라”
- “정치를 해본 적이 없어서…”[횡설수설/정원수]
- 꽁꽁 얼어붙은 서민금융… 불법사채 ‘풍선효과’ 막아야[사설]
- 이재명, 1월 둘째주 檢 출석할 듯…“가능한 시간 확인 중”
- 김용 “검찰, 정치자금을 뇌물로 둔갑”…뇌물죄 추가 기소 반발
- 회계부정 논란 NGO, 정부 돈 받아야 연명하는 구조부터 문제[사설]
- ‘옷장 택시기사’ 살해범, 기사 카드로 고가 양주 사마셔… 신상 공개 검토중
- ‘中비밀경찰서’ 의심 식당 “추악 세력 폭로” 전광판에 메시지
- 우크라 전역 공습 경보…“러 전투기 벨라루스서 대거 이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