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 경제활동+이혼’ 25~34세 남성, 자살 위험성 17.5배 ↑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한 청년 남성일 경우, 자살위험이 17.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요한 교수 연구팀은 경제활동인구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자살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1저자, 보건대학원 최민재 연구교수)를 사회의학 분야 SCI 저널 ‘SSM-Population Health (IF=4.08 )’ 최근호에 ‘결혼상태, 교육 수준, 그리고 경제활동이 자살에 미치는 개별 및 복합적 영향(원제: Single and combined effects of marital status, education attainment, and employment status on suicide among working-age population: A case-control study in South Korea)’이라는 제목으로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자살사망자 전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이 낮거나, 경제활동을 하지 않거나, 이혼을 한 경우 자살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 연령층에서 관찰됐으며 25~34세 연령층에서 두드러졌고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은 점점 감소했다. 특히 25~34세 여성 중 이혼을 경험한 경우, 자살위험이 기혼 청년층(25-34세)에 비해 7.9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경제활동·결혼상태 중 2가지 조합으로 볼 경우, 자살위험은 더욱 증가했는데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혼인상태가 이혼인 경우 자살 위험이 가장 높았다. 25~34세 남성은 자살위험이 17.5배나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살 사례가 사회경제적 요인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과 사회적 환경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경제활동 인구 내에서 연령별로 자살위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했다.
연구팀은 개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은 심리적, 사회적 지지를 함께 제공해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보건의료와 사회경제적 접근의 병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실업과 이혼 같은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이들이 겪는 정신적 어려움은 더 크기 때문에 정신적 어려움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요한 교수는 “현재 고도화된 한국 사회에 진입하는 사회 초년기 청년들은 다양하고 여러 사회적 어려움을 직접 마주하게 되지만, 사회적 안전망은 다른 성인 연령층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움의 무게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청년 실업률과 이혼율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청년들의 어려움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들이 정신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다’는 이재명 정신승리 [핫이슈] - 매일경제
- “테슬라 쇼크는 기회”…주식 초고수들 배터리株 ‘줍줍’ - 매일경제
- “다시 전세로 옮겨야 하나”…월 100만원 이상 월세 급증에 세입자 한숨 - 매일경제
- 마포 대단지 뜨니 전셋값 ‘반 토막’…집주인도 세입자도 아우성 - 매일경제
- [단독] 하락장에 고덕서 24억 신고가...믿을 건 대형 아파트? [매부리TV] - 매일경제
- 대구 미분양 1만채, 할인 판매도 '무용지물' - 매일경제
- 100m 협곡에 추락한 美커플 살린 현대차…“차 덕에 살았다” - 매일경제
- 자산 100억 넘는 ‘토끼띠 주식부자’ 60명…2위 정몽준, 1위는? - 매일경제
- “테슬라와 비트코인에 많은 공통점” 노벨 경제학 수상자의 일침 - 매일경제
- 벤투, ‘올해의 축구대표팀 감독’ 20인 후보 포함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