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에는 ‘달 착륙선’…그때에는 한국 발사체로 스스로 쏜다

이정호 기자 2022. 12. 28. 1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를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번에 달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다누리’ 다음의 정부 목표는 ‘무인 달 착륙선’이다. 발사 시점은 10년 뒤인 2032년로 계획돼 있다.

달 착륙선은 말 그대로 달 상공이 아니라 월면에 발을 딛는 장비다. 이 때문에 더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월면에 충돌하지 않고 적절한 속도로 착륙선을 하강시키는 게 어렵다. 2019년에 인도가 발사한 달 착륙선도 속도를 줄이지 못해 월면에 추락했다. 현재 인도는 달 궤도선만 운영하고 있다.

착륙선 개발을 전제한다면 월면에 간 목적을 달성할 별도의 지상 탐사용 과학 장비도 추가 개발해야 한다. 대부분의 우주 선발국이 특정 천체를 탐사하고 싶을 때 궤도선을 먼저 보내고 착륙선을 쏘는 이유다. 한국도 같은 경로를 선택했다.

정부는 2032년 달 착륙선의 중요 목표를 ‘자원 채굴’로 삼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에 이 내용이 녹아 있다.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2032년에 실시할 채굴은 상업적인 목적을 띤 것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달을 경제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것이라는 점을 정부가 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달에는 핵융합 발전의 연료가 되는 ‘헬륨3’를 비롯해 마그네슘, 실리콘 등은 물론 각종 첨단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희토류’가 풍부하다.

또한 스스로 힘으로 달 착륙선을 쏘아올릴 ‘차세대 발사체’ 개발도 중요한 목표다.

이번에 다누리는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탑재돼 한계도 있었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는 내년부터 2032년까지 2조132억원이 투입된다.

다누리를 한국 스스로 쏘지 못한 건 중량 때문이었다. 다누리는 678㎏인데, 현재 한국이 가진 누리호로 달에 보낼 수 있는 물체의 중량은 0.1t에 그친다.

차세대 발사체는 1.8t짜리 물체를 달까지 보낼 수 있도록 성능을 대폭 증강해 개발될 예정이다. 계획대로 차세대 발사체가 만들어진다면 달 착륙선은 한국 스스로 만든 발사체에 실려, 한국 땅에서 발사된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이번 다누리의 궤도 진입 성공은 항행이나 관제기술의 첫 단추를 끼웠다는 점에서 2032년 달 착륙선 발사가 현실적인 목표가 됐다는 것을 뜻한다”며 “2045년 화성 탐사 등 중장기 목표들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