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보다 높은 여성 공감 능력 57개국 30여만명 조사서도 확인

엄남석 2022. 12. 28.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같은 감정을 느끼는 공감 능력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수십년간 개별 연구를 통해 이뤄진 인지적 공감 측정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제시돼 왔지만 측정 대상의 규모나 지역, 문화, 연령 등에서 제한적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녀간 차이 연령·언어·국가 관계 없이 일치…'눈으로 마음읽기 시험' 활용
이분은 어떤 감정 상태에 있다고 보이나요? (서울=연합뉴스) 인지적 공감 능력을 측정하는 '눈으로 마음 읽기' 시험에서 16번째 문제로 제시된 눈 부위 사진. 이 사진과 함께 오만, 감사, 비웃음, 머뭇거림 등 네 가지 답을 제시하고 하나를 고르게 하는데, 정답은 머뭇거림이라고 한다. [PNAS 제공 Baron-Cohen et al. 논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같은 감정을 느끼는 공감 능력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7개국 30여만명을 대상으로 한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조사,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 따르면 산하 '자폐연구센터' 소장 사이먼 배런-코언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인지적 공감'으로 알려진 '마음이론'(theory of mind)을 대규모로 측정해 분석한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인지적 공감은 타인 입장이 돼 생각하고 같은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에서 기본적인 부분이다.

지난 수십년간 개별 연구를 통해 이뤄진 인지적 공감 측정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제시돼 왔지만 측정 대상의 규모나 지역, 문화, 연령 등에서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얻은 인지적 공감 측정 결과를 모아 총 57개국 30만5천726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진행했다.

인지적 공감 능력은 눈 부위만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해당 인물의 사고와 감정 상태를 고르는 '눈으로 마음 읽기 시험'(Reading the Mind in the Eye Test)을 활용했다. 이 시험은 배런-코언 교수가 1997년에 처음 개발했으며, 미국정신건강연구소(NIMH)도 권고하는 인지적 공감 능력 측정의 주요 잣대가 돼왔다.

총 57개국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6개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21개국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얻은 나라는 아예 없었다.

이런 남녀 간 평균적 공감능력 차이는 16~70세 전 연령에 걸쳐 나타났으며, 8개 언어를 포함하는 비영어권 시험에서도 똑같이 확인됐다.

논문 제1저자인 이스라엘 바르-일란대학의 데이비드 그린버그 박사는 "이번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공감 능력이 높다는 잘 알려진 현상이 지구촌의 많은 나라에 퍼져있다는 첫 증거를 제공해주고 있다"면서 "이는 매우 광범위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확신 있게 주장할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남녀 간 공감능력 차이의 원인까지 가려내지는 못했다.

앞선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사회적 요소 등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는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논문 공동저자인 케임브리지대학 자폐연구센터 응용연구소장 캐리 앨리슨 박사는 "이번 연구는 남녀 간 차이가 국가와 언어, 연령 등에 걸쳐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입증했다"면서 "이는 남녀 간 인지적 공감의 차이를 가져왔을 수도 있는 사회적, 생물적 요소에 관한 미래 연구 수요를 제시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배런-코언 교수는 "남녀 간 평균적 차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각 개인이 성별에 따른 특성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개인의 마음이나 태도에 관해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이 상대방의 표정을 읽으려고 노력한다는 점이 드러난 만큼 이에 대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eomn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