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의 눈] 푸드테크 해답, 데이터를 잣대로 살펴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푸드테크 산업 활성화에 시동을 걸었다.
먼저 푸드테크와 인접한 산업 생태계인 디지털 헬스케어를 데이터 관점에서 정책을 변화한 사례를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더구나 푸드테크는 산업 특성상 데이터 종류와 활용 범위가 넓다.
푸드테크는 기존 농식품 산업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고 그 핵심은 바로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다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푸드테크 산업 활성화에 시동을 걸었다. 최근 푸드테크 등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고,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의 행보는 고무적이다.
푸드테크 산업은 농식품 생산·유통·소비 전반에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바이오기술(BT)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신산업으로 정의하지만 한손에 잡히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푸드테크를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한가지 잣대를 제안한다면 그것은 ‘데이터’다. 데이터에 주목하면 푸드테크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푸드테크와 인접한 산업 생태계인 디지털 헬스케어를 데이터 관점에서 정책을 변화한 사례를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앱)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로 불면증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기존에 없던 혁신적인 디지털 치료제가 확산하자 큰 비용과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무작위 임상시험을 통한 평가제도를 보완해 신속한 허가 제도를 마련하고자 했다.
2015년 ‘21세기 치료법’이란 법을 제정했고 2017년부터는 디지털 치료제 선(先)허가 제도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일명 ‘사전 인증(Pre-Cert)’이라 부르는 이 제도에 따라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할 역량이 있는 삼성·애플 등 9개 기업이 선허가를 받았다. 이후 FDA는 기업들이 출시한 디지털 치료제에서 수집한 대규모 실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과 함께 데이터를 분석해 허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실사용 데이터를 규제 평가에 활용하는 FDA의 혁신적 시도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계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여기서 핵심은 정부가 IoT·플랫폼 등에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대규모 비정형 민간 데이터를 인정하고, 기업과 함께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는 점이다.
더구나 푸드테크는 산업 특성상 데이터 종류와 활용 범위가 넓다. 최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에서 수출국별로 소비자가 음식을 인식하는 차이를 연구했다. 이때 사용한 데이터는 온라인 포럼, 질문답변, 음식레시피, 쇼핑몰 등 출처가 다양했고 수치·이미지·텍스트 등 형태도 다양했다.
푸드테크는 기존 농식품 산업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고 그 핵심은 바로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다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이다. 푸드테크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후속 정책도, 전통적인 식품기업들의 푸드테크 진출 전략도, 데이터를 잣대로 살펴보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김서영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