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n&Out] ‘낯설고 다른’ 렌즈로 봐야 위기가 보인다/김창범 전략문화연구센터 고문(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2022. 12. 28. 05: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창범 전략문화연구센터 고문(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연말이 되면 다가오는 새해에 펼쳐질 도전과 위기를 정확히 예견하고 이에 대비하려고 다들 분주해진다. 정부, 기업은 물론 개인에게도 이는 마치 해마다 돌아오는 ‘제례 의식’과 같은 과정이다. 이런 과정을 겪으면서 우리는 바로 1년 전에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거나 가볍게 여겼던 일들이 버젓이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는 모순적인 결과를 종종 접하게 된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일까.

가장 가까운 사례는 올해 2월 러시아가 감행한 우크라이나 침공이다. 작년 11월 10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미ㆍ우크라이나 외무장관 회담 직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서 이례적 군사활동을 벌이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면서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을 지적했다. 그 후 러시아가 2022년 초 17만여명의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를 여러 전선에서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연이어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전면적인 공격을 단행할 가능성에 대해 우리는 반신반의하거나 흘려 버리곤 했다. 지금과 같이 유례없는 참혹한 전쟁이 10개월 이상 계속되고 지정학적 격변을 넘어 에너지 위기와 식량 부족 상황을 일으킬 것으로는 대부분 예측하지 못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최대의 전쟁이자 ‘제2의 냉전’ 시대를 촉발한 것으로 평가되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되새겨 보면서 글로벌 리스크를 사전에 인지하는 방식에 문제가 없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는 흔히 우리를 둘러싸고 있고 우리가 현재 살아가는 방식을 ‘정상’이라 여기고 다른 방식은 모두 ‘비정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익숙한 것’을 가까이하고 ‘낯선 것’을 피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판단을 가져온다.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은 다양하다. 각자가 처한 환경, 역사적 배경,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은 동일할 수 없다. 우리가 ‘정상’이라 생각하는 것이 다른 사람에겐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세상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렌즈로 다가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만이 다가오는 위기의 징후를 포착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보듯이 러시아의 입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생각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고, 사전 징후들을 가볍게 여겼던 결과가 정확한 상황 판단을 방해했음을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코로나 대유행이 단순히 감염병의 발병을 넘어 글로벌 위기로 빠르게 확산되는 데 따른 예측은 의학적인 지식 이상을 필요로 했다. ‘초연결 사회’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물론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분석 능력과 통찰력 없이는 제대로 된 예측을 할 수 없다.

우리가 당면한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 변동성이 넘치고, 불확실하며, 복잡하고, 모호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예측하기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우리를 둘러싼 위험은 항상 그 모습을 온전히 다 드러내지 않는다. 때로는 그늘 속에 감춰져 있다. “우리가 보지 못한 것이 무엇일까?” 끊임없이 자문해야 한다.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세계가 펼쳐지는데 기존의 지식과 과거의 경험만 갖고는 앞을 내다볼 수 없다.

미중 간 전략 경쟁의 격화는 우리에게 ‘해도(海圖) 없는 항해’와 같이 예기치 않은 위협으로 다가서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 국내외 금융 충격 가능성은 경제 리스크로 이미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는 형국이다. 공급망 교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들은 ‘자국 우선주의’에 입각한 공격적 산업정책을 통해 ‘보조금 전쟁’에 불을 댕기고 있다. 안보 리스크로는 대만해협의 긴장 고조와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우선 눈에 들어온다. ‘제2의 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은 리스크를 미리 찾아내기 위해서는 ‘낯섦과 다름’의 렌즈로 다가가야 한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