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눈] 관제 K콘텐츠의 범람을 우려한다

박성준 2022. 12. 27. 23: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예술단체 한류 확산 프로젝트
수억원 혈세 투입 불구 성과 저조
지금의 한류, 치열한 경쟁의 성과
다차린 밥상에 수저 놓기식 안돼

영화 ‘기생충’과 드라마 ‘오징어게임’ 흥행 성공 후 국가과제가 된 ‘K콘텐츠’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국립합창단과 국립진주박물관의 K콘텐츠 만들기가 본보기다.

1년 전 앞다퉈 쏟아지던 여러 국립예술단체·기관 신년 청사진에서도 가장 도드라졌던 건 국립합창단의 ‘그래미상 도전’이었다. 예술 한류 확산 프로젝트 일환으로 ‘전 세계 발매되는 ‘Voice of Solace(보이스 오브 솔라스)’ 앨범을 통해 미국 그래미상 클래식 합창 부문에 도전하겠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국립합창단이 밝힌 포부는 “대한민국 고유의 정서와 문화를 담은 한국 합창곡 음반 및 뮤직비디오를 제작해, 미국 시장에서의 앨범 발매 및 유통, 광고, 프로모션 활동 등을 통한 예술 한류(K-Classic)의 확산, 한국합창 콘텐츠 수요 증대”였다.
박성준 문화체육부장
그러면서도 목표는 현실을 고려해서인지 그래미상 수상이 아닌 ‘노미네이트’, 즉 후보작에 선정되는 것으로 낮춰잡았다. 음반 분야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그래미상은 1년 동안 음반을 낸 음반사와 가수 등이 입상 지원을 하면 미국 리코딩 예술·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심사·선정한다. 그런데 국립합창단의 야심 찬 신작은 지난달 1차 투표에서 탈락했다. 싱거운 결말인데 이를 위해 국립합창단이 쓴 돈은 5억3000만원. 음반제작·유통, 뮤직비디오 제작은 물론 전광판에 뮤직비디오를 송출하는 등 미국 내 홍보 활동과 그래미상 출품까지 도맡은 음반사 워너뮤직이 가져갔다.

그렇게 지난 6월 ‘예술한류 확산 사업’이란 사업명을 달고 ‘보이스 오브 솔라스’가 세상에 나왔는데 구독자 5000여명인 국립합창단 유튜브 계정엔 ‘새야새야’와 ‘어기영차’ 두 편의 뮤직비디오와 예고편, 제작과정을 담은 영상까지 합쳐서 모두 열여섯 편의 동영상이 올라왔다. 이 중 ‘새야새야’가 가장 높은 조회수 30만회를 기록하고 있고 ‘어기영차’ 조회수는 1만2000회다. 성과를 두고 여러 평가가 나올 수 있는데 애초 국립예술단체가 ‘그래미상 후보’라는 목표를 설정한 일 자체가 마뜩잖다. 상(賞)은 예술 활동의 평가이지 목적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국립진주박물관의 ‘화력조선’ 시리즈는 여러 면에서 K콘텐츠 만들기의 대비되는 사례다. 조선시대 소형화약무기 연구 결과를 어떻게 세상에 알릴까 고민하다 딱딱한 보고서와 별도로 동영상을 만들자고 관장 이하 학예연구사들이 결의해서 2020년 시작된 K콘텐츠다. 나오자마자 큰 호응을 얻어 올해 시즌3부까지 총 20여편이 유튜브에 공개됐는데 총조회수가 518만회를 넘어섰다고 한다.

자신감을 얻은 박물관 측은 아예 후금 팔기군과 조선 정예 포수 대결을 다룬 단편영화 ‘사르후’를 최근 공개했다. 나온 지 두 달 만에 조회수 70만회를 기록했는데 2100여개나 달린 댓글 반응은 “박물관이 뭔 돈이 있을까? 그런데 그 적은 예산 쪼개서 이 정도 퀄리티의 연출을 해내는 건 정말 대단하다” 등 찬사로 가득하다. 제작 과정을 물어보니 김명훈 학예연구사는 “1년에 5000만원으로 본편 6개 등을 만들기 시작해서 올해 7000만원까지 예산이 늘어났다”며 “처음부터 영어 자막을 달았는데 해외에서 보는 이가 많을 때는 10%를 차지한다. 나랏돈을 허투루 쓸 수 없는데 ‘세금이 아깝지 않다’는 댓글을 볼 때 제일 보람 있다”고 말한다. 영상 제작이 본업이 아닌데 무엇이 가장 어렵냐는 물음엔 “충실한 연구”라고 답했다. 어디까지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을 만드는 일이기에 탄탄한 연구 결과가 먼저 나와야 좋은 영상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내놓은 내년 예산 보도자료는 ‘K콘텐츠’로 시작해서 ‘K콘텐츠’로 끝나다시피 한다. 문체부 예산 총 6조7408억원에서 ‘세계인과 함께하는 K컬처’에 8925억원이 투입되고, ‘K콘텐츠 펀드’는 올해보다 512억원 늘어난 1900억원이 책정됐다. ‘물 들어올 때 노 젓기’는 당연한 노력인데 그 방향성과 성과는 따져볼 문제다. 지금 세계 무대를 휩쓰는 우리 문화계 간판스타와 상품 대다수는 민간의 뼈를 깎는 노력과 치열한 경쟁의 산물이다. 그렇게 차려진 ‘문화 한류’라는 밥상에 수저 올려놓기식으로 나랏돈으로 만들어진 ‘관제(官製) K콘텐츠’가 범람하며 예산이 낭비될까 우려된다.

박성준 문화체육부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