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료? "3,000원도 비싸다".. '음식값 10%'면 적정
월 평균 25.3일 근무.. 실질 순소득 286만 원
10명 중 4명 사고 경험.. 온라인 안전교육 이수
소비자 88% 배달앱 이용.. "높은 배달료는 불만"
일상회복기 배달시장 변화.. "근본적 대책 필요"
코로나19 장기화 영향으로 플랫폼 노동자가 크게 늘고,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배달·배송·운송업 종사자 비중이,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52%였던게 2021년 76%로 급격히 증가했을 정도로 관련 업계 성장세가 뚜렷한데 이들 배달업계 종사자들에 대한 첫 실태조사가 이뤄졌습니다.
주 5일 없이 한 달 일해 평균 386만 원을 벌었지만 실제 소득은 200만 원 후반에 그쳤습니다.
소비자들의 배달 이용 빈도 역시 높았지만, 그만큼 적정 배달료를 비롯한 개선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높았습니다.
팬데믹 상황 속에, 재차 배달시장에도 변화의 흐름이 감지되는 상황이라 또다른 고민이 더해져야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배달 종사자 3년 새 2배 급증.. 중개 플랫폼 동반 성장
국토교통부는 오늘(27일)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사업(배달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 이후 음식 배달 종사자, 지역 배달대행업체, 배달 플랫폼업체 등을 대상으로 정부가 처음 진행한 실태 조사입니다.
조사결과 배달업에 종사하는 배달원은 코로나19 이후 크게 늘어 2019년 상반기 제주를 비롯한 전국 배달원수가 11만9,626명이었던게 올해 상반기 23만7,188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비대면 서비스가 일상에 자리잡으면서 주문중개 플랫폼이 37개로 늘고, 배달대행 플랫폼은 51개까지 증가해 서울에서 제주까지 전국 가지 배달대행업체만 7,794곳이 운영 중일 정도입니다.
주문중개 플랫폼은 소비자와 음식점 간 음식주문을, 배달대행 플랫폼은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 간의 배달주문을 중개하는 플랫폼을 말합니다.
■ 평균 순소득 286만 원.. 서울>인천>광주 등 순
주요 6개 도시 배달 종사자 1,200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 설문 조사에선 배달업 종사자는 월평균 25.3일 일하며 평균 381만 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95만 원은 보험료·렌탈료 등으로 지출해 순소득은 28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지역 순소득이 314만 원으로 가장 많고 인천(306만 원), 광주(274만 원), 대전(267만 원), 부산(227만 원), 대구(220만 원) 순입니다.
하루 평균 배달건수는 주중 37.4건, 주말은 42.3건으로 평균 운행거리는 주중 103㎞, 주말 117㎞로 나타났습니다.
■ 최근 6개월 내 사고 경험 43%.. 온라인 안전보건교육 이수
주문 시간 등에 쫓긴 무리한 운전 등에 따른 사고 빈도도 적지 않았습니다.
종사자 1,200명에 대한 면접설문 결과, 516명(43%)이 최근 6개월 사이 교통사고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주 사고원인은 ‘촉박한 배달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이 42.8%로 가장 많고, 상대 운전자 미숙이나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종사자 79%(948명)는 처음 배달업을 시작할 때 안전보건교육은 받았지만 대부분 온라인교육(72.2%) 이수로 나타났습니다.
■ 배달앱 이용 경험 88%.. "주로 저녁시간대"
이번 설문조사에선, 별도로 음식배달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가 진행됐습니다.
이 조사에선 10명 중 8~9명(88%) 정도가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며 월 3~5회(42%) 배달음식을 먹는다고 답했습니다.
배달음식을 주문하는 빈도는 한 달에 1~2회(38%), 6~10회(15%) 순으로, 오후 5시~8시 저녁시간대(67%) 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응답자 절반 '2,000원' 적정 ↔ 종사자 "체계 개선 필요"
배달료에 대해 소비자와 배달 종사자들 각각 뚜렷한 입장을 드러냈습니다.
조사 대상 소비자들은 지불 배달료에 대해 절반이상(57%)이 2,000원대를 적정하다고 답했습니다.
또 31%가 3,000원대를 적정하다면서 ‘음식값의 10%’가 적정 배달료로 인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앞서 설문 조사에서 배달 종사자들도 불만을 나타내,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선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43.8%)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고 다음으로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 등 순을 꼽았습니다.
소비자들은 또 신속·편의성, 선택의 다양성이란 면에선 대체로 만족(54%)하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배달료 수준에 대해 개선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응답자 66%가 단건 배송을 선호했고, 50%가 주문 20∼30분 내에 음식이 도착하는 것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습니다.
국토부 측은 "이번 조사는 표본의 크기, 조사 규모 면에 아쉬움은 있지만, 배달업에 대한 첫 실태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보다 정교한 조사방식을 도입하고 조사항목을 추가하는 등 실태조사를 통해 정확한 시장 환경 분석으로 정책 적정성 및 정확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배달 수요 등 감소.. "시장 변화 요구"
코로나 팬데믹으로 갑작스럽게 배달시장이 확대되면서, 올초부터 배달업계 구조와 적정 배달료 문제 등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 불거져온게 사실입니다.
배달 수요가 급격히 늘고 배달 종사자 공급 부족으로 배달료가 자연 증가하면서 구인 경쟁도 치열해졌던 탓인데, 정작 정부 차원에선 ‘배달비 공시제' 대책을 내놨지만 큰 도움은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본격화되는 일상 회복 시기를 맞아선 재차 고민이 더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 와중에 플랫폼업계 등은 배달비 공시를 비롯해 각종 규제 속에 경영 부담을 안고 소비자들의 시선까지 감내해야할 판입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배달 수요도 점차 안정을 되찾는 분위기에선, 예전처럼 계속 배달요금이 오르진 못할 상황"이라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개선점을 수렴하고 정부 역시 보다 실효성있는 정책 대안을 내놓아야할 것"라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