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무인기에 뚫린 이유 찾았다…“돌발출현 소형드론에 대응 못해”
한국방위산업진흥회가 이달 초 발간한 <국방과 기술> 12월호에 실린 ‘소형드론 위협을 고려한 미 국방전략과 우리 군의 대응방향’이라는 제목의 기고를 보면 우리 군의 취약점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이 기고문은 육군 교육사령부의 서정원 드롯본전투발전센터장, 박희정 드론봇전투발전과장, 이기진 드론봇정책발전장교, 이한렬 드론봇전투발전기획장교가 함께 썼다.
이들은 글에서 “현재의 대응체계는 전시에 소부대급에서 경고되지 않고 출현하는 돌현표적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무기체계가 없고 평시에는 현장에서 기체를 확보하지 못 할 경우 상황을 종결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소형드론을 격추시키기 위해 레이저나 유도무기, HPM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대급 이하에서 운용하기에는 가성비 면에서 적절하지 않다”며 “고속발사기관총이나 공중폭발 탄약, 군집드론(다수의 소형드론을 즉각 발진시켜 핵심시설을 보호하는 개념)을 활용한 개념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들은 “드론전력화를 추진하면서 현장에서 체감하는 대드론체계 전력화 속도 지연에 대한 위기의식을 군과 유관부서에서 함께 공유하면서 활발한 논의를 실시하고 관련 예산의 반영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우리 군의 대응 방향도 제시했다. ▲대드론체계 전투발전업무 전담 조직 편성 ▲대드론체계 적정 요구능력(ROC) 설정 ▲산학연군 협업체제 구축 ▲소부대급 방호 위한 무기체계 도입 등이다.
소형드론은 전장의 전투수행 방식뿐만 아니라 전쟁 패러다임도 바꿔놓고 있다.
드론이 전장에서 본격적으로 활약한 시기는 2000년대 초다. 미군은 아프간전과 이라크전에서 정찰·공격 목적으로 드론을 활용했다.
같은 시기 우리 군이 추진한 ‘2006~2020 국방개혁 기본계획’의 전력·부대구조에는 드론이 명시되지 않았다. 드론이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꿀 무기체계로 활용될지 예상하지 못했던 탓이라는 지적이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2017년부터 전혀 이런 드론에 대한 대응 노력과 훈련, 전력 구축이 제대로 되지 않고 훈련이 아주 전무했다”며 “북한의 주요 군사시설을 감시 정찰할 드론부대 창설을 계획하고 있었지만 어제 사건을 계기로 해서 드론부대 설치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차장에 차 4대 알박기…“명당자리 독차지” 주민들은 울상 - 매일경제
- ‘소멸국가 되나’ 인구 급감에 고개드는 부동산 비관론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토스·카뱅보다 더주네”…5천만원까지 연 4% 파킹통장 등장 - 매일경제
- 이번엔 20대 ‘빌라왕’ 사망…세입자 피해 속출 - 매일경제
- 초장에 회를 꾹 찍어서 쩝쩝…강남 아바타 상영관서 벌어진 일 - 매일경제
- 월급 1억 직장인, 내년 최고 건보료 月391만원으로 오른다 - 매일경제
- 석달새 40% 올랐는데 더 간다?...초고수들이 찍은 이 종목 - 매일경제
- [단독] 네이버가 품은 美중고거래플랫폼 … 대놓고 '짝퉁' 판다 - 매일경제
- 최서원, 6년 만에 임시 석방…딸 정유라 “기뻐서 눈물이...” - 매일경제
- 셀틱, J리그 MVP와 조규성 동반 영입 희망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