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오겜·우영우 키운다…"2027년 방송영상 매출액 30조원"

이세원 2022. 12. 27. 10: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제작사·OTT가 지식재산권 보유하도록 지원
'K 콘텐츠 IP 펀드' 1천500억원 규모로 추진…장애인 접근성 향상
세계로 진출하는 한국 영상 콘텐츠 [연합뉴스T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오징어 게임'(오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우영우)처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영상 콘텐츠 제작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다.

2027년까지 방송영상산업 매출액을 30조원 수준으로 끌어올리도록 기술 확산, 인력 육성, 제작 기반 조성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6차 방송영상산업 진흥 중장기계획'(2023∼2027년)을 27일 발표했다.

중장기계획은 방송영상 산업 혁신, 콘텐츠 제작 기반 강화, 콘텐츠 산업의 국제화, 함께 성장하는 산업기반 조성 등을 전략으로 삼았다.

우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Over the Top)에 특화된 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비를 내년에 454억원으로 확대한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EN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문별로 보면 드라마의 경우 올해 94억원(9편) 수준이었는데 내년에 390억원(18편)으로 늘어나며 편당 최대 지원액은 14억원에서 30억원으로 확대한다.

비드라마 지원은 총액 20억원에서 60억원으로 늘린다.

아울러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OTT 영상물에 대해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등급을 분류하는 '자체등급분류제도'를 내년 3월부터 전면 실시한다.

현장 수요에 대응하도록 OTT·콘텐츠 특성화 대학원 신기술 콘텐츠 융·복합 아카데미에 내년에 각각 19억원, 57억원을 투자해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지식재산권(IP) 기획·창작 전문인력을 육성하도록 세계적인 IP가 될 가능성이 있는 다큐멘터리 프로젝트를 골라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글로벌 콘텐츠 인큐베이터'(가칭)도 추진한다.

'오징어 게임'이 시즌1에서 흥행에 성공했지만, 작품에 대한 권리인 IP를 넷플릭스가 독점해 넷플릭스에 수익이 쏠린다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정부는 IP 확보를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우영우'의 경우 한국 제작사 에이스토리가 작품에 대한 IP를 온전히 갖고 있다는 점에서 '오징어 게임'과는 차이가 있다.

정부는 수익 창출의 핵심 요소인 IP를 제작사와 국내 OTT 사업자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국내 OTT 플랫폼에서 우선 방영할 수 있도록 해 양측의 동반 성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 [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제작사가 보유한 IP를 활용해 후속 사업을 하고 수출할 수 있도록 '중소제작사 글로벌 도약 지원' 사업을 내년에 100억원 규모로 새로 추진한다.

'K 콘텐츠 IP 펀드'를 1천500억원 규모로 추진하고 중소 콘텐츠업체의 규모 확장을 위한 'K 인수합병(M&A) 펀드'를 내년에 666억 원 규모로 조성한다.

관련 기업이 제작 완료 후 판매 대금으로 대출금을 상환하도록 보증하고, 중소 제작사의 이자 부담을 줄이도록 보전사업도 실시한다.

디지털 리마스터링 등 OTT 저장소(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후반 작업도 내년에 50억 원 규모로 새로 지원한다.

컴퓨터그래픽(CG), 특수시각효과(VFX), 번역·더빙 등 후반작업 지원 자금을 내년에 300억원 규모로 새로 마련해 수출을 촉진한다.

제작 기반도 강화한다.

'오징어 게임'을 찍은 대전 '스튜디오 큐브'에 수상 및 일반 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실내스튜디오를 내년 상반기 완공하고, 모든 스튜디오에서 특수촬영을 할 수 있도록 크로마키 스크린을 설치한다.

엘이디 벽(LED 월)과 인카메라 VFX 등을 갖춘 가상(버추얼) 프로덕션 공공 스튜디오를 '스튜디오 큐브(대전)'와 '디지털매직스페이스(DMS, 서울 상암)' 안에 조성해 많은 중소제작사가 첨단 시설을 활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2025년까지 '융·복합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도 조성해 제작 기반을 긴 호흡에서 강화한다.

정부는 현재 9개국 10개소에 있는 한국 콘텐츠 해외거점을 내년에 13개국 15개소로 늘리고, 홍보 비용을 80억원으로 확대한다.

방송 분야 표준계약서를 개정해 방송제작진(스태프)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는 등 제작에 종사하는 이들이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내년부터 방송영상콘텐츠 후반작업 때 시청각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화면해설방송을 지원하는 등 장애가 있어도 제한 없이 방송영상콘텐츠와 OTT 콘텐츠를 누릴 수 있도록 보조한다.

문체부는 일련의 정책을 통해 지난해 기준 22조8천억원인 방송영상산업 매출액을 2027년 29조8천억원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수출액은 같은 기간 6억4천만 달러에서 11억4천만 달러로 늘어나고 매출액 100억원 이상인 제작자의 비율이 9.7%에서 20.5%로 상승할 것이라고 문체부는 관측했다.

sewonl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