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성장 기둥 반도체, 종합 1위 노린다
[편집자주]다사다난했던 임인년이 저물고 계묘년 새해가 시작되지만 글로벌 경기전망은 여전히 어둡기만 하다. 세계 경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미국·중국 무역전쟁 심화 등 지정학적 위기 고조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주요국들의 금융긴축 지속과 아직 끝나지 않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도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힌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대변되는 '3고(高)' 현상과 소비 둔화 등 국내 경제 환경 역시 녹록지 않다. 유례없는 복합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올해 민간투자의 저력을 앞세워 위기를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각 산업은 초격차 기술로 무장해 세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정부는 대대적인 지원으로 'K-신드롬'에 추동력을 실을 방침이다. 계묘년 새로운 도약을 향해 나아갈 'K-산업'의 전략을 살펴봤다.
① 공급망 위기에 '자국 우선주의' 심화… '수출 강국 코리아' 전략은
②깊어지는 미·중 갈등… 샌드위치 한국의 묘수는
③ 韓 성장 기둥 반도체, 종합 1위 노린다
④전기차 심장 K-배터리, 제2의 반도체 신화 쓴다
⑤기술의 K-조선, 글로벌 초격차 '뱃고동'
⑥원전강국 재도약 나선다
⑦ UAM 등 미래 모빌리티 중심에 선 '한국차'
⑧현대차, 세계 1등 수소산업 정조준
⑨SF 영화가 현실로… 미래 시장 이끌 'K-로봇'
⑩ "AI 경쟁력 세계 3위로"… 700조원 시장 선점 나선다
⑪2023년 게임산업이 기대되는 이유… 신작 대거 공개
⑫中 넘어 '기회의 땅' 찾는 K-뷰티
⑬이어지는 R&D 결실, 새해 기대되는 한국산 신약은?
⑭위기 때마다 저력 발휘한 K-건설, '제3의 중동붐'에 주목한다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반도체를 바탕으로 시스템반도체 영향력도 높이려고 한다.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를 모두 잡아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다. 시스템반도체는 정보를 기억하는 역할인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데이터를 연산·제어·처리한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점유율은 3% 정도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경기 용인 기흥캠퍼스에서 차세대 연구·개발(R&D) 단지 기공식을 열었다. 1993년 메모리반도체 분야 1위 달성 등 '반도체 초격차' 초석을 다진 기흥캠퍼스에서 새로운 미래를 그려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025년 중순 가동 예정인 반도체 R&D 전용라인을 포함해 2028년까지 연구단지 조성에 약 2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R&D 단지는 메모리반도체와 함께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시스템반도체 R&D 분야 핵심 연구기지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
산업부는 지난 7월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발표해 향후 5년 동안 340조원 이상을 반도체산업에 투자하겠다고 공언했다. 대기업에 대한 설비 투자 세액공제를 기존 6~10%에서 8~12%로 늘리는 게 골자다. 용적률 특례(350→490%)를 적용해 한정된 부지에서의 설비 신·증설 허용량도 확대한다. 중대한 사유가 없으면 산단 조성 관련 인허가를 신속히 처리하도록 의무화하기도 했다. 반도체 R&D 분야 노동자들이 1주에 64시간까지 일할 수 있도록 특별연장근로를 허용하고 기업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화학물질·안전 규제도 완화한다.
국회도 반도체산업 지원 보폭을 맞췄다.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등 일명 'K-칩스법' 중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통과시킨 것.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은 반도체 특화단지 인허가 처리결과 통보 기간을 15일로 단축하고 60일 안에 처리결과를 통보하지 않으면 인허가한 것으로 간주하는 게 핵심이다. 여야 합의가 전제된 만큼 추후 본회의에서도 이변 없이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설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폭을 확대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아쉽다는 평가다. 예상보다 적은 수준의 세액공제율 혜택이 주어지게 된 탓이다. 국회는 지난 23일 ▲대기업 8%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 등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기존 세액공제율(▲대기업 6%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과 큰 차이가 없어 투자를 이끌어내기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업계에서는 반도체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이 적어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경쟁국인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타이완은 반도체 R&D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를 기존 15%에서 25%로 늘리기로 했다.
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출 줄여야 산다" 영끌족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 머니S
- 가수 겸 배우 비, 두 딸 위해 산타 변장한 멋진 아빠 - 머니S
- 윤 대통령 부부, 은퇴 안내견 '새롬이' 입양… 11번째 반려동물 - 머니S
- '재벌집 막내아들' 송중기, 종영 소감 "의미 있는 작품, 진심으로 감사" - 머니S
- [헬스S] "변기 뚜껑 닫고 물 내리세요"… 노로바이러스 주의 - 머니S
- "수수료 무료가 중요해" MZ세대 10명 중 9명은 앱으로 금융거래 - 머니S
- 마약 못 끊은 방송인 에이미, 세번째 유죄 확정… 징역 3년 확정 - 머니S
- 미 최종금리 5.75%까지… 고금리 장기간 간다 - 머니S
- 조성하, "큰 형님 소천하셨다"… '올빼미' 무대인사 불참 - 머니S
- '빌라왕' 소유 47채 경매, 청구액 105억… 채권자 대부분 세입자들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