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성장 기둥 반도체, 종합 1위 노린다

김동욱 기자 2022. 12. 27. 06: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 위기 파고 넘어 K-신드롬 이어간다] ③ 삼성·SK, 시스템반도체 투자 확대… 정부·국회는 지원으로 뒷받침

[편집자주]다사다난했던 임인년이 저물고 계묘년 새해가 시작되지만 글로벌 경기전망은 여전히 어둡기만 하다. 세계 경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미국·중국 무역전쟁 심화 등 지정학적 위기 고조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주요국들의 금융긴축 지속과 아직 끝나지 않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도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힌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대변되는 '3고(高)' 현상과 소비 둔화 등 국내 경제 환경 역시 녹록지 않다. 유례없는 복합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올해 민간투자의 저력을 앞세워 위기를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각 산업은 초격차 기술로 무장해 세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정부는 대대적인 지원으로 'K-신드롬'에 추동력을 실을 방침이다. 계묘년 새로운 도약을 향해 나아갈 'K-산업'의 전략을 살펴봤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종합반도체 글로벌 1위 자리를 노린다. 사진은 지난 8월19일 기흥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기공식에 참석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에서 두번째). /사진=삼성전자
▶기사 게재 순서
① 공급망 위기에 '자국 우선주의' 심화… '수출 강국 코리아' 전략은
②깊어지는 미·중 갈등… 샌드위치 한국의 묘수는
③ 韓 성장 기둥 반도체, 종합 1위 노린다
④전기차 심장 K-배터리, 제2의 반도체 신화 쓴다
⑤기술의 K-조선, 글로벌 초격차 '뱃고동'
⑥원전강국 재도약 나선다
⑦ UAM 등 미래 모빌리티 중심에 선 '한국차'
⑧현대차, 세계 1등 수소산업 정조준
⑨SF 영화가 현실로… 미래 시장 이끌 'K-로봇'
⑩ "AI 경쟁력 세계 3위로"… 700조원 시장 선점 나선다
⑪2023년 게임산업이 기대되는 이유… 신작 대거 공개
⑫中 넘어 '기회의 땅' 찾는 K-뷰티
⑬이어지는 R&D 결실, 새해 기대되는 한국산 신약은?
⑭위기 때마다 저력 발휘한 K-건설, '제3의 중동붐'에 주목한다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위해 투자를 늘린다. 메모리반도체에 이어 시스템반도체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목표 달성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세웠다. 국회도 반도체산업 지원이 골자인 '국가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메모리반도체 잡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 시스템반도체 공략 박차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올해 3분기 메모리반도체 분야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글로벌 D램 점유율 40.6%를 기록하며 1위 자리에 올랐다. SK하이닉스는 점유율 29.9%로 2위다. 양사가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D램 10개 중 7개를 생산하는 셈이다. 낸드플래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향력이 크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자료를 보면 삼성전자의 3분기 글로벌 낸드플래시 점유율은 31.4%로 1위다. SK하이닉스(자회사 솔리다임 포함)는 18.5%로 3위에 자리했다. 메모리반도체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이 겹쳐 수익성이 떨어졌지만 글로벌 점유율 수성에는 성공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반도체를 바탕으로 시스템반도체 영향력도 높이려고 한다.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를 모두 잡아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다. 시스템반도체는 정보를 기억하는 역할인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데이터를 연산·제어·처리한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점유율은 3% 정도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경기 용인 기흥캠퍼스에서 차세대 연구·개발(R&D) 단지 기공식을 열었다. 1993년 메모리반도체 분야 1위 달성 등 '반도체 초격차' 초석을 다진 기흥캠퍼스에서 새로운 미래를 그려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025년 중순 가동 예정인 반도체 R&D 전용라인을 포함해 2028년까지 연구단지 조성에 약 2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R&D 단지는 메모리반도체와 함께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시스템반도체 R&D 분야 핵심 연구기지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2021년 10월 매그너스반도체 유한회사로부터 키파운드리 지분 100%를 5758억원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한 뒤 올해 8월 인수 절차를 마무리 지었다. 키파운드리는 8인치 웨이퍼를 기반으로 전력반도체, 디스플레이구동칩,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등 비메모리 반도체를 위탁 생산한다. SK하이닉스는 자회사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와 키파운드리를 활용해 시스템반도체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부·국회, '경제 핵심' 반도체 지원 몰두… 좁은 세액공제 확대 폭은 우려


사진은 지난 9월14일 국민의힘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특위 오찬 간담회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가운데)_사진=대통령실
정부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세계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반도체산업은 국내 기업들의 수출이 많은 만큼 대한민국 경제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확인하면 한국의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은 1280억달러(166조여원)로 전체 수출액(6444억달러·약 838조원)의 19.9%에 달한다. 올해 들어서는 1월부터 11월까지 반도체 수출액이 1202억달러(156조여원)를 기록, 전체 수출액(6291억달러·817조여원)의 19.1%를 차지했다.

산업부는 지난 7월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발표해 향후 5년 동안 340조원 이상을 반도체산업에 투자하겠다고 공언했다. 대기업에 대한 설비 투자 세액공제를 기존 6~10%에서 8~12%로 늘리는 게 골자다. 용적률 특례(350→490%)를 적용해 한정된 부지에서의 설비 신·증설 허용량도 확대한다. 중대한 사유가 없으면 산단 조성 관련 인허가를 신속히 처리하도록 의무화하기도 했다. 반도체 R&D 분야 노동자들이 1주에 64시간까지 일할 수 있도록 특별연장근로를 허용하고 기업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화학물질·안전 규제도 완화한다.

국회도 반도체산업 지원 보폭을 맞췄다.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등 일명 'K-칩스법' 중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통과시킨 것.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은 반도체 특화단지 인허가 처리결과 통보 기간을 15일로 단축하고 60일 안에 처리결과를 통보하지 않으면 인허가한 것으로 간주하는 게 핵심이다. 여야 합의가 전제된 만큼 추후 본회의에서도 이변 없이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설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폭을 확대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아쉽다는 평가다. 예상보다 적은 수준의 세액공제율 혜택이 주어지게 된 탓이다. 국회는 지난 23일 ▲대기업 8%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 등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기존 세액공제율(▲대기업 6%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과 큰 차이가 없어 투자를 이끌어내기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업계에서는 반도체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이 적어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경쟁국인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타이완은 반도체 R&D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를 기존 15%에서 25%로 늘리기로 했다.

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