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난쏘공이란” 조세희 작가 별세 소식에 시민들 추모 물결
첫시작, 시대적 아픔의 상징, 꺾이지 않는 고전, 인생의 전환점, 현재진행형
‘나에게 <난쏘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시민들은 저마다의 대답을 내놓았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의 조세희 작가가 향년 80세로 눈을 감았다. 산업화 시대 도시의 그늘을 비추며 빈민과 노동, 인간됨과 사랑, 계급과 소외의 문제를 여백 많고 따듯한, 그러면서도 서늘한 시적인 문체로 형상화해 한국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고인의 빈소가 26일 서울 강동구 강동경희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다. 조용히 빈소를 찾은 시민들은 그의 삶과 작품세계에 존경을 표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나에게 난쏘공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되새기며 고인을 추모하는 글이 이어졌다.
이날 오전 10시40분쯤 빈소를 가장 먼저 찾은 시민 이준희씨(32)는 “나에게 <난쏘공>은 ‘첫시작’”이라고 했다. 이씨는 “스무살에 난쏘공을 읽고 소설을 쓰기로 했다. 소설을 쓸지 말지 고민했는데 (그 고민의) 시작이 조세희 작가님이었다”며 “부고 기사를 보고 (고인을) 잘 보내드려야겠구나 생각했다”고 했다. 이날 새벽 4시쯤 부고 소식을 접한 그는 오전 8시부터 빈소가 차려지기를 기다렸다고 했다.
30여년 전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에서 글공부를 하며 고인과 연이 닿았다는 김한종(57)·박명기(57)·박상혁씨(51)도 빈소를 찾았다. 이들은 “문하생이란 표현은 과하고, 선생님의 뜻을 개인적으로 존경해온 사람들”이라며 “8년 전 뵙고 또 찾아봬야지 했는데 이런 자리에서 뵙는다”고 했다.
박명기씨는 “어떤 집회나 현장에 조그만 카메라 들고 나타나는 모습이 그려진다. 멀리 떨어져 보는 게 아니라 늘 현장에 있던 사람”이라고 고인을 떠올렸다. 고인은 1985년 카메라를 들고 탄광이 있는 강원도 사북 지역을 찾았다. 그 결과물이 산문집 <침묵의 뿌리>이다. 이후에도 소외된 이들이 힘겹게 싸우는 현장에서 허옇게 머리가 센 고인이 카메라를 든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박상혁씨는 고인이 ‘깃발같은 분’이라고 했다. 그는 “아름다운 이상향을 꿈꾸며 세상이 바뀌어도 한 구석에서 늘 인간을 향한 깃발을 들고 서 있을 것만 같은 사람”이라고 했다.
90년대 말 경희대 국문과에서 고인의 강의를 수강했다는 정재혁씨(48)는 “항상 (우리 사회) 현실의 어려움을 알아야 한다” “난쏘공이 의미 없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했던 고인의 말을 회상했다. 그는 “섣불리 선생님을 표현해 누를 끼치고 싶지 않고, 첨언이 없어도 충분히 훌륭하신 분”이라고 조심스러운 존경을 표했다.
용인시 기흥구에서 빈소를 찾은 강태우 목사(51)는 “대학생 때 읽은 <난쏘공>은 이런 사회에 필요한 존재가 되어야겠다, 사회적 약자를 위해 살아야겠다고 생각하는 계기였다”면서 “<난쏘공>은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했다.
고인은 숙환을 앓던 중 지난 3월 말 코로나19에 확진된 이후 투병 생활에 집중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고인의 차남인 조중헌씨는 “저희 아버지가 다른 분들에게 가슴에 남는 작가로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추억을 해주시더라”며 “아버지와 아버지가 남기신 메시지를 (독자들이) 좋게 품어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전날 밤부터 애도의 물결이 이어졌다. 충남 당진에서 농원을 운영하는 국소정씨(44)는 빈소를 찾는 대신 인스타그램에 <난쏘공> 표지와 함께 “이 분의 소설을 연습장에 손으로 꾹꾹 눌러쓰며 읽었던 기억이 있다”는 추모글을 올렸다. 국씨는 통화에서 “고인이 많이 사랑받고 회자되는 이유는 소시민으로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수성과 맞닿아있기 때문일 것”이라며 “<난쏘공>은 현재진행형”이라고 했다. 그는 “나도 공을 쏘아올렸던 난장이고, 그 공은 지금 어디에 있을지...현실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했다.
온라인상에는 <난쏘공>과 산문집 <침묵의 뿌리> 표지와 글귀 등을 공유하며 각각의 책들이 어떤 의미였는지 추억하는 게시글도 보였다. “<난쏘공>이 읽히지 않는 시대가 와야하는데 아직도 사람들이 뼈아프게 공감한다는것이 아쉽다” “조세희 선생님이 꿈꾼 세상은 여전히 우리 모두의 숙제로 남아있다” “여전히 잊힐 수 없는 시대는 오지 않았다” “냉소주의에 빠지지 말라는 말씀 기억하겠습니다” 등의 추모글이 이어졌다.
이날 장례식장에는 출판업계와 문재인 전 대통령,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이 보낸 조화가 놓였다.
김송이 기자 songyi@kyunghyang.com, 전지현 기자 jhy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