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질병·기후 등 인류 난제 해결 위한 기초과학 집중 육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질병·기후 등 인류 난제와 신분야 기초과학 개척 연구 등 특정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2032년까지 세계 10위권 우수 정부 연구기관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기초과학이 전 지구적 인류난제 해결은 물론 국가 전략 분야의 탄탄한 기반이 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IBS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일본 이화학연구소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연구기관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질병·기후 등 인류 난제와 신분야 기초과학 개척 연구 등 특정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2032년까지 세계 10위권 우수 정부 연구기관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IBS는 '기초과학연구원 중장기 발전전략(2023~2027)'을 확정해 2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초연구진흥협의회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중장기 발전전략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법 제21조에 따라 5년마다 수립·시행한다.
IBS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기초·혁신 분야 전략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다. 그간 IBS는 호기심 기반의 자율적 연구분야 위주로만 연구를 선정했다. 앞으로는 우주, 양자, 뇌과학, 기후 등 중장기적으로 집중할 분야를 먼저 선정한 뒤 연구단을 선정해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내년부터 위원회를 구성해 세계적인 이슈 중 기초과학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선정할 계획이다.
5대 과학특성화대의 캠퍼스별 특화 분야를 기반으로 연구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KAIST는 화학·바이오메디컬, 포스텍은 응집물질과학,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융합,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광과학,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바이오나노융합 등을 집중 지원한다. 기존 IBS가 연구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구단을 운영했다면 이제는 하나의 대학에 특정 분야 연구단을 결집해 작은 연구소 체제로 운영해 나가겠다는 의미다.
같은 맥락으로 국가 전략형 기초과학연구소도 중점 육성한다. 지난해 7월 설립된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와 올해 7월 설립된 중이온가속기연구소가 대상이다. 각각 국가 바이러스 기초연구의 허브, 희귀동위원소 가속기 활용 연구의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IBS는 이번 전략의 주요 임무로 '인류 난제 해결'과 '신영역 개척' 등을 제시했다. 질병, 기후, 우주 등 인류가 안고 있는 문제를 기초과학으로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또 새로운 이론이나 새로운 물질·방법론 등 미지의 영역을 개척해 기초과학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연구자들의 교류·협력도 확대된다. IBS는 본래 '이노베이션팀'으로 운영하던 부서를 '이노베이션센터'로 확장해 연구자 창업을 지원하고 기술이전·사업화를 촉진한다.
이외에도 IBS는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을 중장기 발전전략에 담았다. 연구단별로 진행되던 행정업무를 통합해 연구단장의 행정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또 고도화된 연구장비·시설과 전문적인 기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기초과학이 전 지구적 인류난제 해결은 물론 국가 전략 분야의 탄탄한 기반이 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IBS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일본 이화학연구소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연구기관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영애 기자 yalee@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