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층 1년만에 완공...아파트의 미래 ‘모듈러’
국내 최고층...새 내화기준 적용
기존 건축·토목 영역에 IT 접목
“폐자재없는 탁월한 ESG건축”
“올해 1월말 착공에 들어가 내년 1월 준공을 목표로 합니다. 1년 사이 13층 건물이 지어지는 것입니다. 모듈러 주택은 최소 30~50%까지 공기 단축이 가능합니다.”
이달 초 기자가 찾은 경기도 용인시 영덕 A2블록 경기행복주택 공사 현장에서는 마침 거대한 컨테이너 트럭에 실려온 모듈(주택 한 가구)이 대형 크레인에 실려 6층 높이로 옮겨지고 있었다. ‘레고형 주택’으로 불리는 모듈러 주택은 주요 구조물 제작과 건축 마감을 공장에서 미리 한 뒤 현장으로 옮겨 조립하는 방식이다. 한쪽 벽에 거대한 척추(코어)를 세워두고 컨테이너 모양의 집을 기대어 차곡차곡 쌓아 올려지고 있었다.
이 현장은 13층 106가구 공공주택을 모듈러 주택으로 짓는 사업지다. 이는 국내 역대 최고층 모듈러 주택이다. 포스코건설과 자회사 포스코A&C가 함께 지은 12층 높이 광양제철소 직원 기숙사가 현재 국내에선 가장 고층이다.
현행 건축법상 12층 이하 건물에 불이 나면 2시간 동안 주요 구조부가 열을 견뎌야 한다. 13층 이상 건물부터는 3시간으로 기준이 강화된다. 기존 철근콘크리트보다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한 모듈러 주택이 이 내화 기준을 충족하려면 열에 강한 내화구조체를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현장은 13층 이상의 시범사업격이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고층 모듈러 주택 사업의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경수 현대엔지니어링 용인영덕 현장소장은 “용적율 탓에 13층만 올렸을 뿐 추가로 올리는데 기술상 큰 차이는 없다”고 강조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13층 규모다. 지하 1층엔 주차장이 있고, 지상 1~2층은 일반적인 주상복합처럼 상가와 주민 편의시설이 들어갈 예정이다. 모듈형 주택은 3층부터 시작된다. 13층까지 11개층을 쌓아 올린다.
각 층마다 모듈 10개씩 총 106가구(전용 17㎡ 102가구, 37㎡ 4가구)가 계획돼 있다. 각각의 모듈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지하1~지상 2층과 연결된 거대한 ‘ㄴ’자 모양의 코어를 만들어놨다. 코어에는 엘리베이터 시설과 각 가구로 이어지는 전력망, 통신망, 스프링쿨러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주택마다 12개의 앵커볼트가 코어 그리고 주변 주택들과 연결됨으로써 각각이 따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다. 앵커볼트의 직경은 20㎜이고 볼트가 들어가는 구멍은 22㎜다. 현장에서는 오차를 줄이는데 크게 애를 먹었다고 털어놨다.
김 소장은 “건축, 토목이 아닌 제3의 영역 IT(정보기술)업체를 불러들여 해결했다”며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오차가 있을 때는 미리 확공을 함으로써 당황하지 않고 계획을 갖고 접근할 수 있었다”고 했다.
코어에 설치된 계단을 통해 모듈이 올려지고 있는 6층으로 갔다. 현장에는 13층 규모의 건물이 지어지고 있다고는 못 느껴질 정도로 적은 인원이 일을 하고 있었다. 코어와 모듈 사이에는 약 1.5m 간격의 공간이 있는데, 이 부분은 복도로 쓰인다.
전용 17㎡의 모듈 내부는 이미 벽지, 타일 등 마감이 끝난 상태였다. 에어컨, 조명, 홈네트워크 등 일부 전기시설도 설치됐다. 모듈이 움직이며 파손될 수 있는 빌트인 세탁기 등은 추후 따로 설치할 예정이다. 수도와 전기만 연결된다면 당장 거주도 가능한 수준이었다.
김 소장은 모듈러 주택의 장점을 거듭 강조했다. 우선 공장이라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제작돼, 균일한 품질확보는 물론 통상 건물을 세운 뒤 1년 가량 걸리는 마감 기한이 아예 사라졌다고 평가했다. 이는 공기 단축 효과로 이어진다.
또 건설의 탈현장시공(OSC)를 통해 전 과정에서 자원 낭비를 줄인다는 장점도 부각했다. 김 소장은 “하나의 건물을 지을때 짓는 건물 만큼의 쓰레기가 나온다고 한다”며 “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만들어져 나오니 폐자재가 나올일이 없는점 등 ESG 경영관점에서도 탁월한 차별점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존공법으로 지어진 건축물의 경우 대부분 파괴적인 철거공법에 의존하나 모듈러 건축은 해체가 가능해 소음, 분진, 진동이 없고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며 “또 체계적으로 분리해 자재 또는 자원의 재사용과 재활용 비율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영상 기자
sa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송중기, 영국 여성과 교제 인정…“좋은 감정으로 만남 이어가”
- “아프니까 사장 진짜 안할래요”…줄줄이 문닫는 ‘사장님들’
- 태국 다녀온 50대男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국내 첫 사례
- “회사 출근 싫으면 퇴사해?” 부러움 샀던 재택근무 금지령, 직원들 ‘아우성’
- ‘불출석’ 가닥 이재명, 호남으로 가는 까닭은? [이런정치]
- 고교생 3명 탄 킥보드, 버스와 ‘쾅’…잡고보니 음주 무면허
- 전신형 ‘리얼돌’ 수입 허용…미성년·특정인 형상은 금지
- [영상]“조립식으로 지어진 13층 우리집 아파트”…고층 시대 여는 모듈러주택[부동산360]
- "남친 아파트 옷장에 주검이"…실종 신고 택시 기사 숨진 채 발견
- “아이폰→삼성폰 바꾸면 친구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삼성, 파격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