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이’로 대변된 약자의 삶 그린 노동문학가 [고인을 기리며]

송용준 2022. 12. 25. 22: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의 조세희 작가가 25일 오후 7시쯤 숙환으로 별세했다.

고인은 1975년 난장이 연작의 첫 작품인 '칼날'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뫼비우스의 띠' '은강노동가족의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 등 연작 12편을 묶어 출간된 '난쏘공'을 통해 '난장이'로 상징되는 한국 사회 약자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난쏘공’ 작가 조세희 별세
1978년 발표 뒤 꾸준히 사랑
대학가 필독서·수능 출제도
국내문학 최초 300쇄 돌파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의 조세희 작가가 25일 오후 7시쯤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0세. 이명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빈소는 강동 경희대병원 장례식장에 치러지고 발인은 28일”이라고 밝혔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작가 조세희씨가 25일 별세했다. 2008년 기자회견에서 이야기하는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고인은 1942년 8월20일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서 태어났다. 보성고,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다녔고 경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5년 ‘돛대 없는 장선’이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되며 등단했다. 그 뒤 10년 동안 소설을 쓰지 않고 잡지 기자 등의 일하다가 다시 소설을 집필해 산업화로 고통받던 도시 빈민의 삶을 그린 그의 대표작 ‘난쏘공’을 1978년 출간했다.

고인은 1975년 난장이 연작의 첫 작품인 ‘칼날’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뫼비우스의 띠’ ‘은강노동가족의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 등 연작 12편을 묶어 출간된 ‘난쏘공’을 통해 ‘난장이’로 상징되는 한국 사회 약자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난쏘공’은 서울시 낙원구 행복동 무허가 주택에 사는 난쟁이 가족과 주변 인물들을 통해 도시 빈민의 삶과 계급 갈등을 다뤘다. 화가 백영수의 동화풍 그림을 표지에 실은 이 책은 동화같은 외관과는 달리 한국 사회를 근저에서부터 뒤흔들 파괴력을 내장하고 있었다. 엄혹하고 암울했던 유신 체제의 막판에 나온 이 책은 당시 체제 비판 도서들이 거쳐야 했던 금서의 운명을 용케도 피하며 숱한 독자들의 눈물을 끌어냈다. 대학가에서는 분단 문제를 다룬 최인훈 소설 ‘광장’과 함께 신입생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으며, 2000년대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도 출제되는 등 청소년 독자들에게도 널리 읽혔다.

고인은 ‘난쏘공’이 국내 문학 최초로 300쇄를 돌파했던 2017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역사의 진행을 가만히 보면 작품을 쓰지 않을 수 없는 때가 있어요. 난쏘공을 쓸 때도 그랬지요”라고 밝히는 등 이 작품이 당시 시대상에 대한 절박함에서 나왔음을 토로하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두 아들이 있다.

송용준 기자 eidy015@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