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요금 오르나… ‘노인 무임승차’ 비용 예산에 반영 안 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서울시 등 각 지자체 도시철도의 노인 무임승차 비용을 지원하는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다.
앞서 서울시 등 전국 13개 지방자치단체가 모인 '전국 도시철도운영 지자체협의회'는 지난 4월 18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한 공동 건의문에서 "무임승차 손실이 미래세대와 지방자치단체에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이 되기 전에 도시철도의 안전한 운행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새 정부의 과감한 결단을 촉구한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정 예산안 의결했지만 본회의서 정부 원안 통과
서울교통공사 적자 1조…무임수송 비용 29%
오세훈 “중앙정부 도움 없으면 자구책 강구할 수밖에”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서울시 등 각 지자체 도시철도의 노인 무임승차 비용을 지원하는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정부 지원이 없을 경우 ‘자구책’을 마련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서울시 등 각 지자체가 대중교통 요금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도시철도 PSO(Public Service Obligation·공익서비스에 따른 손실보전 지원) 예산이 포함되지 않았다. PSO 예산은 노인과 장애인 등 노약자 무임수송에 따른 비용을 보전해주기 위해 책정된다.
만 65세 이상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는 전두환 정부 때인 1984년 정부 방침에 따라 도입됐다. 그러나 정부는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32조에 근거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만 PSO 예산을 지원해왔다. 작년에는 3796억원을, 올해는 3845억원을 지원했다.
정부는 코레일 PSO 예산으로 3979억원을 책정한 내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지난달 24일 지방자치단체 도시철도 손실 보전분 3585억원을 추가로 반영한 7564억원의 수정안을 의결했다. 그러나 전날(24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는 교통위의 수정안이 아닌 코레일 손실보전만 반영한 정부의 원안이 통과됐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 19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지하철 적자 폭이 너무 커졌다”며 “정부가 도와주지 않는 것으로 정리된다면 요금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도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움이 없으면 자구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서울 지하철 기본운임은 2015년 1250원으로 100원 인상된 후 8년째 동결돼 있다. 인구가 고령화되며 매년 무임승차 대상이 되는 노인은 늘고 있다. 이 때문에 1인당 평균 운임손실은 2019년 494원에서 지난해 1015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지하철 탑승 인원이 줄면서,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964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순손실 중 무임수송 비용은 29%(2784억원)을 차지한다.
오 시장은 “서울교통공사가 연 1조원 정도의 적자를 보는데, 그중 무임수송에서 생기는 적자가 상당하다”며 “더는 ‘교통은 복지다’라는 차원에서 연 1조원의 적자를 매년 감내할 수는 없다”고 했다. 국회에는 2017년 3월 도시철도 법정 무임승차 손실을 정부가 보전하는 내용의 도시철도법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폐기됐다. 20대 국회 출범 후 2020년 11월 같은 내용의 법안이 다시 발의돼 계류돼 있다.
도시철도 노인 무임승차 비용 보전은 서울 뿐 아니라 도시철도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들이 모두 요구하고 있다. 앞서 서울시 등 전국 13개 지방자치단체가 모인 ‘전국 도시철도운영 지자체협의회’는 지난 4월 18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한 공동 건의문에서 “무임승차 손실이 미래세대와 지방자치단체에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이 되기 전에 도시철도의 안전한 운행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새 정부의 과감한 결단을 촉구한다”고 했다.
지하철 요금이 인상된다면 시내버스 요금도 함께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하철과 시내버스 요금은 통상 동시에 인상돼 왔다. 2007년 4월에는 100원씩, 2012년 2월에는 150원씩 같게 올랐고 2015년 6월 인상폭은 지하철 200원, 버스 150원이었다. 다만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은 인천시·경기도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야 하기 때문에 최종 결정까지는 최소 수 개월이 걸린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똑똑한 증여] “돌아가신 아버지 채무 6억”… 3개월 내 ‘이것’ 안 하면 빚더미
- HLB 간암신약, FDA 임상시험 현장 실사 통과... “허가 가시권 재진입”
- 국민주의 배신… 삼성전자 미보유자 수익률이 보유자의 3배
- 특급호텔 멤버십 힘주는데... 한화, 객실 줄인 더플라자 유료 멤버십도 폐지
- “진짜 겨울은 내년”… 세계 반도체 장비 공룡들, 대중 반도체 제재에 직격타
- 오세훈의 ‘미리 내 집’ 경쟁률 50대 1 넘어… 내년 ‘청담르엘·잠래아’ 등 3500가구 공급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사람도 힘든 마라톤 완주, KAIST의 네발로봇 ‘라이보2’가 해냈다
- '첨단 반도체 자립' 갈망하는 中, 12인치 웨이퍼 시설 설립에 6조원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