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급성심정지 환자 3만여명…코로나 이후 생존율 ‘뚝’ 떨어졌다

김명지 기자 2022. 12. 25. 10: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심장 활동이 갑자기 멈추는 급성심장정지(심장마비) 환자가 지난해 한 해에만 3만 3000여 명 발생했다.

25일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2021년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조사·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19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3235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64.7명이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도(7638명)였고,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기준으로는 제주도가 101.8명으로 가장 높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보고서
119 이송된 급성심정지 3만3235명
70대 이상이 53%로 가장 많아
100명 중 7명만 생존...일상 복귀는 4.4%뿐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심장 활동이 갑자기 멈추는 급성심장정지(심장마비) 환자가 지난해 한 해에만 3만 3000여 명 발생했다. 의학적으로 돌연사에 대한 정의·통계는 없지만 보통은 ‘급성 심장 정지로 인한 사망’을 돌연사 개념으로 본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코로나19 유행을 기점으로 2년 연속 하락세다. 뇌기능이 회복해 일상생활이 가능해지는 ‘회복율’은 4%로 5년 전으로 후퇴했다.

25일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2021년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조사·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19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3235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64.7명이었다. 이는 급성심장정지 조사가 2006년 시작된 이후 최고 수준이며, 환자 수는 매년 증가세다.

성별로는 남성 발생률은 82.4명, 여성 발생률은 47.2명으로 매년 남성 발생률이 여성의 1.7∼1.9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 환자가 1만7704명으로 전체 환자 중 53.3%를 차지했다. 고령화를 고려하면 70대 이상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도(7638명)였고,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기준으로는 제주도가 101.8명으로 가장 높았다.

질병관리청 제공

급성심장정지 환자 가운데 의무기록조사를 마친 3만3041명 가운데 생존자는 2410명으로, 생존율은 7.3%에 그쳤다. 생존율은 2016년 8.6%를 기록한 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 발생한 2020년 7.5%로 떨어진 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로 퇴원한 환자 비율인 ‘뇌기능 회복율’도 4.4%로, 코로나 전인 2019년(5.4%)과 비교하면 1%p 떨어졌다.

생존율과 회복율이 이렇게 떨어진 것은 코로나 유행으로 병원 응급 의료 체계가 정상 작동하지 못한 탓으로 보인다. 코로나 방역으로 응급 환자를 이송 가능한 병원을 찾는 것이 어려워졌고, 출동 가능한 구급대도 과부하가 걸렸으며, 전문 치료를 시작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등 복합적인 상황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서는 추정했다.

생존율은 목격자에 의해 심폐소생률을 받은 경우(11.6%)가 그렇지 않은 경우(5.3%)가 차이가 컸다. 일반인의 심폐소생률 시행률은 지난해 기준 28.8%로 꾸준히 늘고 있다. 지역별로 심정지환자 생존율은 서울(10.1%) 세종(9.9%)가 가장 높았고, 울산(4.9%)로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는 사람보다는 할 줄 아는 사람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환자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이 높다”라며 “심폐소생술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한번 교육받은 사람도 일정 주기로 재교육을 해서 품질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심장정지 환자 초기 대응 강화 취지로 지난 22일부터 근로자 300인 이상의 사업장에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가 의무화됐다. 이는 지난해 말 국회에서 응급의료법 개정안이 통과된 데 따른 것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