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체 심리 주목…침체 그림자 짙어졌을까
소비자·기업심리지수 발표…경제주체 심리 주목
정부, 어려운 새해 예고…경기침체 가능성 커져
이창용 한은총재 신년 메세지도 주목…금리인상 목표치 다시 내거나
12월 마지막주 금융시장은 경제주체 심리에 주목한다.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종전보다 얼어붙었다면 우리나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더욱 짙어질 수 있어서다.
이와 함께 주중 발표될 예정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신년 메시지도 관심이다. 이미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등을 내놓으면서 내년 대략적인 기준금리 운용 기조에 대한 방향은 잡았다. 관건은 이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 마침표에 대한 힌트를 제시할 지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주중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CCSI),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등 주요 경제주체들의 심리 결과를 발표한다.
먼저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6월 들어 줄곧 기준점인 100을 하회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100을 기준값으로 해 100보다 높을 경우 향후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100을 하회할 경우에는 앞으로도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보는 소비자가 많다는 이야기다.
올해 소비자심리지수는 1월부터 5월까지는 줄곧 100을 상회했다. 5월까지는 앞으로는 경기가 좋아지겠다고 봤다는 것이다. 하지만 6월 96.4를 기록하며 100을 하회했고 11월까지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12월에도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넘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가계 금리 부담은 더욱 커졌고 물가상승세 역시 고공행진을 이어나가는 등 경기 악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어서다.
기업들의 향후 경기전망을 나타내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역시 악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기업경기실사지수 역시 100을 기준으로 이를 하회할 경우 향후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BSI는 올해들어 줄곧 100을 하회했다. 특히 지난 9월 이후에는 장기평균(2003년 1월~2021년 12월)인 79를 하회하며 기업들은 향후 업황에 대한 부담감이 크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특히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 이후 기업들의 자금사정BSI는 줄곧 하락세다. 정부와 금융당국을 비롯해 다양한 채권시장안정화 방안을 펼쳐왔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운전자금, 시설자금 등이 충분하지 못하며 앞으로도 마련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셈이다.
12월 들어서는 1400원을 넘어서던 달러/원 환율의 상승세가 진정되며 1300원 이하로 하락하는 등 환율에 대한 부담감은 완화된 상황이라 하나의 고비는 넘겼다. 다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전쟁의 장기화 등 전세계적인 시장 불안은 여전한지라 기업들의 심리가 얼마나 회복됐을지가 관건이다.
이처럼 12월 경제주체들에 대한 심리가 악화할 경우 내년 우리나라의 경기침체가 본격화 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당장 정부 역시 내년, 특히 상반기의 경우 '보릿고개'가 올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1일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내년 상반기에는 잠재수준을 하회하는 성장세가 예상되며 하반기로 갈수록 대외여건 개선 등으로 점차 회복되는 상고하저의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내년 경제성장률은 올해 2.5%보다 둔화된 1.6%로 전망한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금융시장에서는 이와 더불어 주중 발표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신년사에 담길 메시지에도 주목한다.
이미 한국은행은 2023년 통화신용정책 방향을 통해 내년 역시 물가안정을 중점으로 두고 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다시 말해 물가 안정세가 진정될 때까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단 의미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신년사를 통해 이같은 기조를 다시 한번 확인할 가능성이 높다. 주목할 점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어디까지 올릴 것인지에 대한 메시지가 담기느냐다.
일단 한은이 사실상 제시한 기준금리 상한은 3.5%다. 관건은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목표치가 5.0%까지 상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어 한은 역시 이를 재조정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년 5.0%까지 올리고 한은은 3.5%까지만 인상할 경우 한미간 금리차이는 1.50%로가 된다. 이는 지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폭을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 달러/원 환율의 상승,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등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한은 역시 3.5%라는 상한선을 고집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경남 (lkn@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