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우리말] 크리스마스에 눈이 안 온다구요?

2022. 12. 24.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희 : 네 맞습니다, 맞구요.

그래도 즐거운 성탄은 보낼 수 있어 기다려지네.

철수와 영희는 크리스마스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영희나 철수처럼 사람들은 이상하게도 크리스마스에 눈을 바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조현아 기자] 철수 : 올해 크리스마스는 화이트크리스마스가 아니라며?

영희 : 네 맞습니다, 맞구요. 그래도 즐거운 성탄은 보낼 수 있어 기다려지네.

철수와 영희는 크리스마스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영희나 철수처럼 사람들은 이상하게도 크리스마스에 눈을 바란다. 그런데 올해는 아쉽게도(?) 눈이 아닌 강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되고 있다.

다시 대화로 돌아가서, 영희의 말 중 ‘맞구요’는 틀린 말로, ‘맞고요로 바꿔 말해야 한다.

일상에서 자주 혼동해 쓰는 낱말 가운데 ‘-고요’와 ‘-구요’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구요’는 표준어가 아니다.

‘-고요’는 ‘-해’할 자리에 물음, 부정(否定), 항의, 강조, 맺음 따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고’ 뒤에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요’가 붙어서 된 말이다.

“부모님은 안녕하시고?”(물음), “그건 절대 진실이 아니라고”(항의), “-라구가 서울사투리라고?”(부정), “그건 나도, 나도”(강조), “몸이 많이 가벼워졌어요. 기분도 좋고요”(맺음) 등으로 쓰인다.

또한 ‘어쩌구 저쩌구’도 ‘어쩌고 저쩌고’로 써야 맞다.

▶우리말 지킴이 당신을 위한 한끗 정리=‘고요’가 “무조건 맞습니다, 맞고요”를 기억하자.

jo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