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채팅창에 눈이 옵니다".. 시각장애인도 카톡 '잘'써야 한다는 이 사람

윤지혜 기자 입력 2022. 12. 24.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판교통신] 김혜일 카카오 DAO 인터뷰
카카오톡 채팅방에 눈이 내리자 화면낭독기가 '채팅방에 눈이 와요'(자막)라고 읽어주는 모습. /사진=카카오

"채팅방에 눈이 와요."

수도권 대설주의보가 발효된 지난 21일, 카카오톡 채팅방에서도 눈이 내리자 스마트폰이 이같이 말했다. '보이스오버'·'토크백'(Talk back) 등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낭독기가 눈 내리는 채팅방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한 덕분이다. 창밖을 보지 않으면 알 수 없게 소리도 냄새도 없는 눈을 시각장애인들은 카톡으로 인지하게 되는 셈이다.

김혜일 카카오 DAO를 경기 성남시 '카카오 아지트'에서 만나 인터뷰했다. /사진=카카오


중학생 때 갑자기 시력을 잃어 현재 시야가 40% 정도 남은 김혜일 카카오 DAO(디지털접근성책임자)는 "저 같은 저시력자도 밖에 눈이 오는지 잘 몰라요. 눈은 소리가 나는 게 아닌 데다, 비처럼 공기가 바뀌는 것도 아니니까요"라며 "카톡에서 '눈이 온다'고 알려주면 그제야 주변 사람들에게 '밖에 눈이 오나 봐요'라고 얘기할 수 있죠"라고 말했다.

지난 4월 카카오는 링키지랩 접근성 팀장인 그를 IT업계 최초 DAO로 선임했다.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하면서 모바일 없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진 만큼, 장애인·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장벽을 낮추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계열사마다 접근성 담당자를 선정하고 링키지랩 접근성팀 인원을 2배로 늘려 업계 최대 규모로 확대했다.
혁신 DNA에 '접근성' 더해…"모든 사람 연결하겠다"
/그래픽=김현정 디자인 기자
이를 총괄하는 김 DAO의 꿈은 더 크다. '모든 것을 연결하는'(Connect Everything) 비전을 넘어 '모든 사람을 연결하는'(Connect Everyone)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각오다. 김 DAO는 "장애인들은 어떤 서비스가 나올 때마다 모험을 해야 한다"라며 "카카오에서 나온 서비스는 '접근성 걱정 없이 바로 쓸 수 있다'는 신뢰를 쌓겠다"고 자신했다.

실제 카카오톡은 화면낭독기로 PC·모바일 버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국내 유일 메신저다. 타 기업의 접근성 담당 직원들도 카카오톡으로 소통할 정도다.

올해 김 DAO는 카카오에 '접근성 DNA'를 심는 것에 주력했다. 기획·개발·운영·QA 전 과정에 접근성을 고려하도록 의사결정 구조와 절차를 만든 것이다. 예컨대 멜론의 DAO 담당자가 접근성을 개선코자 할 때 △기획·개발자가 서비스를 개편하고 △링키지랩 접근성팀이 QA과정에서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사실상 전 사원이 접근성 업무를 하게 된 셈이다.

이용자가 1천만명 이상인 카카오 서비스 10여개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접근성을 고려하겠다는 목표다. 다만 개발 일정에 쫓기는 IT업계 특성상 한계에 부딪힐 때도 많다. 내일이 출시예정일인데 접근성을 개선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다. 이때 접근성을 해결하고 서비스를 출시할지, 출시 후 접근성을 빠르게 개선할지 담당부서와 협의해 조율하는 게 DAO 역할이다.

김 DAO는 "접근성은 담당자뿐 아니라 기획자·개발자·디자이너, 인사·총무·정책·재무·법무팀과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파트너사까지 협력해야 해결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내년부터 시각장애인도 카톡 이모티콘 읽는다
김혜일 카카오 DAO. /사진=카카오
접근성이란 장애인이 다른 사람들과 동등하게 특정 기기·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을 말한다. 김 DAO는 모바일 시대에 접근성은 단순 편의를 넘어 인권의 문제라고 본다. 그는 "과거엔 특정 웹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아도 생활에 지장이 없었지만, 스마트폰으로 24시간 연결된 요즘엔 접근성을 보장하지 않으면 사회 참여 자체가 불가능해진다"라며 "이런 점에서 특정 장애유형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장벽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든 사람을 포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었지만, 범용적으로 쓰이는 사례도 많다. 전화나 알림이 오면 스마트폰 카메라 플래시가 깜빡이는 기능이나 한 손으로 애플워치를 조작하는 '어시스티브 터치'는 각각 청각·지체장애인을 위해 탄생했다. 다크모드 대신 사용했던 카카오톡 고대비 테마나 ARS 인증시 숫자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게 아니라 화면에 보여주는 카카오 계정인증 방식도 시각·청각장애인을 위한 기능이지만 널리 쓰이고 있다.

카카오는 청각장애 이용자를 위해 기존 ARS 인증시 숫자를 음성에서 화면 표시로 바꾸고(왼쪽)과 카카오톡 고객센터 내 '소리 없는 영상' 제작·표기했다. /사진=카카오 캡처


다만 비장애인에겐 '티도 안 나는' 접근성 개선 업무는 늘 지난한 과정을 동반한다. 카카오는 내년 1월부터 약 50만개에 달하는 모든 카톡 이모티콘에 대체텍스트를 제공키로 했는데, 현실화까지 10년 가까이 걸렸다. 지난 11년간 2400억건을 주고받을 정도로 이모티콘이 일상적인 소통수단이 되면서 시각장애인이 대화에서 소외된다는 문제의식은 있었지만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막막했다는 설명이다. 결국 3년에 걸쳐 전 이모티콘에 일일이 텍스트를 입력했다.

예컨대 곰이 아령을 들고 있는 모습 위로 '운동만이 살길'이라고 쓰인 이모티콘이 있다면 장애인표준사업장인 링키지랩 소속 직원들이 일일이 '곰/아령/운동만이 살길'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김 DAO "이모티콘이 처음 나왔을 때부터 문제의식을 갖고 수년간 해결방안을 모색했다"라며 "다른 장애를 가진 직원들이 만든 정보가 시각장애인에 도움이 되고, 이는 장애인 고용으로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접근성 적용한 게임 만든다…"디지털 시대 모두가 누려야"
디자인 접근성 체크리스트 예시 /사진=카카오
다만 국내 IT업계 접근성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다. 김 DAO처럼 접근성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은 전무하고, 일반 기획·개발자 대상 교육도 부실하다. 이에 카카오는 내부 임직원 대상 접근성 공통교육을 정례화했는데, 경력 입사자조차 '접근성을 처음 듣는다'는 반응이다. 김 DAO는 "접근성을 잘 아는 기획·개발자가 많아져야 저변이 넓어진다"라며 "내년엔 직군·플랫폼별로 접근성 교육과정을 만들고, 체크리스트를 적극 배포해 실효성을 높일 것"이라고 했다.

국내엔 장애인이 게임을 즐기기 위한 접근성 가이드라인도 없다. 이에 김 DAO는 카카오게임즈와 게임 접근성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를 적용한 게임 개발까지 추진 중이다. 가이드라인엔 △'돋보기' 등 저시력자를 위한 화면 및 UI 확대 △청각장애인을 위한 소리 조정 △지체장애인을 위한 컨트롤러 개별화 기능 등 접근성 필요성과 적용범위, 구현지침 등이 담겼다. 향후 장애 이용자 대상 테스트를 진행해 가이드라인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김 DAO의 소명은 본인에게 기회가 된 디지털 시대를 가급적 많은 사람이 누리는 것이다.

"저는 비대면 디지털 근무가 가능한 이 시대에 태어나 일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제가 편한 방식으로 글자크기나 명도·대비 등을 조절해 문서를 볼 수 있으니까요. 조선시대에 태어났으면 어땠을까요. 일상을 편하게 만들어준 디지털 기술을 다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어요. 이런 점에서 장애인뿐 아니라 고령층을 위한 방안도 모색 중입니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