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주의 투자바이블] 2023년 증시에 늑대가 또 올까
美 물가 상승세 둔화 움직임에도
연준 '고금리 고집'에 증시 불안
現 인플레는 수요 아닌 공급 문제
코로나 쇼크 등 수습땐 회복 낙관
증시를 결정하는 단 하나의 요인이 미국 기준금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증권을 따라다니는 돈의 양뿐 아니라 저성장이 고착화된 세계경제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공급함에 있어서도 금리가 결정적이다. 왜냐하면 아직 영업이익을 만들지 못하는 스타트업들이 외부 자금을 순조롭게 조달하려면 저금리에 의한 풍부한 시중 유동성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미국 기업들이 사용하는 시중금리는 급하게 꺾이고 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의 경우 한 달 전 4.2% 수준에서 3.5%까지 내려온 상태다.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고금리를 버티지 못하는 증거다. 반면 미국 중앙은행은 아직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다. 그 결과 단기금리인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4.2%까지 올라왔고 장단기 금리 차가 역전됐다. 이를 먹고 사는 상업은행들의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고 그럴수록 경제는 마비된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이 과거의 상례였다. 2019년 8월에도 그랬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은 여전히 고집을 부리고 있다. 선물 시장에 반영된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기대는 현재 4~4.25% 수준에서 내년 5월 5%까지 오른 후 연말 4.5%로 꺾이는 시나리오다. 하지만 미국 중앙은행은 5%대의 고금리를 상당 기간 유지할 것이라고 겁을 준다. 2023년 또 한 번 증시에 늑대를 보낼 것처럼 말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1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7.1% 올랐다. 전월 7.7%, 그리고 정점이었던 6월 9.1%에 비해 누그러진 상태다. 하지만 미국 정치인들이 표를 잃기에는 충분히 높은 수치다. 미국 중앙은행은 서둘러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까지 끌어 내리려 한다. 이를 위해 고금리 유지가 필요하다는 논리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정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코로나바이러스 환경에서 노동자들을 현장에 불러내기 쉽지 않았다. 특히 처우에 불만이 있었던 그들에게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일을 시키려면 훨씬 높은 임금을 제시했어야 했다. 코로나 쇼크는 마무리돼가지만 올렸던 임금을 다시 깎기는 쉽지 않다. 또한 코로나 쇼크 기간에는 임금은 올랐어도 근무시간이 줄어 잃었던 소득을 보상받고 싶은 부분도 더해질 것이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이런 코로나바이러스의 후유증, 그리고 전쟁에 따른 생필품 가격의 상승이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장인 제롬 파월이 공급망을 통제할 수는 없다. 그래서 수요라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렸다. 이 조치가 가장 효과적인 부분은 주가를 떨어뜨린 것이다. 불로소득을 줄여 쉽게 소비될 수 있는 부분을 제거했다.
반면 금리 인상이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조장하는 부분도 있다. 모든 생산 요소에 금융 비용이 포함돼 있고 특히 그동안의 저금리로 인해 기업 및 가계의 부채 비율이 높아진 상태다. 한편 지난 10년간 연 4% 수준을 유지하던 미국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는 현재 6.4%다. 금리가 오른 만큼 주택 임대업자는 월세를 올려야 한다. 학자금대출·자동차대출 등 미국인들은 생필품 소비를 빚에 크게 의존한다. 금리를 올린다고 생필품 수요가 얼마나 억제될까. 오히려 금리 인상의 역기능이 더 커 보인다. 물가를 부추겨 서민들만 잡는 셈이다.
그럼에도 파월이 고금리를 유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면피를 위함으로 보인다. 물가에 책임이 있는 중앙은행장으로서 대응 조치를 취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을 것이다. 사람들은 물가가 오를 때 금리를 올려 수요를 눌러야 하는 것으로 학습돼 있다.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수요가 아닌 공급 쪽에 있는데도 말이다. 올해 미국 중앙은행이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거듭 밟으며 금리를 올렸지만 인플레이션은 원하는 대로 식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며 코로나 쇼크의 후유증으로 생긴 기형적인 인건비 부담도 완화될 것이고 전쟁으로 인해 급등했던 유가·곡물가도 제자리를 찾아갈 것이다. 결국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겠지만 그것은 금리 인상, 즉 ‘정치인들의 쇼’ 덕분이 아닌 ‘비정상의 소멸’일 뿐이다. 파월 자신이 2021년 말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고 언급했던 것처럼 말이다. 비록 정상화까지 다소 오래 걸리지만 말이다. 그 과정을 기다리자. 어차피 시간은 투자자의 것이다.
여론독자부 opinion2@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2억 아파트가 4억 됐다'…전세보다 싼 매매가에 '술렁'
- '결혼지옥' 오은영 '제가 아동 성추행 방임? 참담한 심정'
- '28㎝ 눈폭탄'에 카페 지붕 '폭삭'…'눈 무게 견디지 못해'
- 8조 썼는데 고철?…'230억' 세계 최고가 장갑차 '굴욕'
- 216명 탄 여객기 아찔한 '비행'…엔진 1개 끄고 착륙했다
- '영하 20도' 내일이 더 춥다…크리스마스까지 강추위
- 화장실 갔는데…'아이들 찾아내' 공항서 난동 부린 엄마
- BTS 빈자리 뉴진스가 채웠다…하이브 두달 만에 52% 상승
- 팔꿈치 수술 뒤 사망 4살 사진 공개…'진상 밝혀 달라'
- '삼성전자, 주가 바닥 수준…내년 상반기 반등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