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배럴'을 벗어날 수 없는 이유
지금도 유가(油價)는 변하고 있다. 2020년 봄 배럴당 16달러까지 떨어졌던 유가는 올해 중반 139달러까지 치솟았다. 2년 새 가격이 10배나 뛴 데는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경제적이고 지정학적인 충격이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경기 침체와 지정학적 혼란은 유가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유가가 항상 외부적 요인에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경제적·지정학적 참사가 없었던 지난 20년 동안 유가는 널뛰기하듯 오르락내리락했다.
1930년대 이후 거의 100년 동안 배럴당 30달러를 밑돌았던 유가는 2004년에 치솟기 시작하더니 2008년 7월 145.31달러로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6개월 만에 다시 33달러로 내려앉았고, 2011년 또다시 100달러까지 올랐다. 이후 3년 넘게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2016년 2월 다시 26달러로 폭락했다. 지난 30여 년간 에너지 전문가로 활동한 로버트 맥널리는 이 같은 유가 변동에는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의 정도가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 그 힘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같은 조직이 만들어낸다. 극심한 가격 변동은 석유 산업의 본질적인 특징이기에 역사적으로 석유 생산자들은 의무 할당제나 카르텔을 통해 공급을 규제해왔다.
유가를 통제하려는 시도는 미국에서 시작됐다. 1891년 설립된 텍사스철도위원회(TRC)는 원유의 공급량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된 세계 최초 유가 조정 기구였다. 미국 각 주에 할당량을 부여해 안정적으로 원유 공급을 통제하면서 1970년대까지 약 40년간 유가 변동률이 3.6%에 그치는 '텍사스 시대'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통제력은 미국의 국력으로 이어졌다.
이 책은 현대 석유 시장의 역사를 되짚어보면서 미래를 예측한다. 저자는 석유를 다른 에너지원으로 빠르게 전환해 선천적으로 변동성에 취약한 유가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은 패착이라고 지적한다.
[박대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우크라, 배치하면 파괴하겠다”…푸틴이 경고한 무기의 정체 - 매일경제
- “12억짜리가 4억에 거래?” 전세보다 싼 매맷값에 주민 ‘술렁’ - 매일경제
- “한번 입었을 뿐인데 ‘완판’”…이재용 공항패션에 난리난 패딩조끼 - 매일경제
- “이정도 빠졌으면 됐어”…주식 초고수들 SK하이닉스 저가매수 - 매일경제
- “둔촌주공 당첨됐는데 가족들이 말려요.”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저때 저런 USB·찻잔 있었다고?”...‘재벌집 막내아들’ 옥에 티 - 매일경제
- “산타랠리 오나 싶더니”…외국인 매도 폭탄에 주저앉은 코스피 - 매일경제
- 손흥민 내세운 메가커피...가맹점에 ‘60억 광고비’ 분담 논란 - 매일경제
- “생명을 위협하는 추위” 영하 50도 한파에 일상 마비된 미국 - 매일경제
- WBC 한국대표로 ‘현수’ 에드먼 뛸까? 가능성 UP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