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켐, 1.6조 올해 최고 규모 빅딜 쐈다… 글로벌 수준 기술력 입증

이창섭 기자 2022. 12. 23. 14: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 암젠에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ADC 항암제, 글로벌 트렌드… 레고켐 플랫폼 '안전성' 인정받은 듯

국내 바이오산업에서 올해 최대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이 체결됐다. 항체-약물 접합제(ADC) 전문 기업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바이오)가 글로벌 제약사 암젠에 ADC 원천 기술을 제공하고 총 1조6000억원을 받기로 했다. ADC는 최근 빅파마들이 경쟁적으로 파이프라인을 도입하는 글로벌 트렌드 약물이다. 레고켐바이오는 이번 라이선스아웃으로 플랫폼 경쟁력을 입증했다. 국내를 넘어 글로벌 수준의 ADC 기업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레고켐바이오는 자사의 ADC 플랫폼 기술을 글로벌 제약사 암젠(Amgen)으로 기술이전했다고 23일 공시했다. 계약 금액은 선급금과 단계별 마일스톤을 포함해 총 12억4750만달러(약 1조6050억원)다. 상업화 이후 매출의 일부 비율로 지급되는 로열티는 별도다. 다만, 선급금과 마일스톤의 개별 금액, 로열티 비율은 계약 조건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기술이전은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계약이다. 올해 두 번째로 나온 10억달러 이상의 기술 수출이기도 하다. 앞서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이 사노피에 10억6000만달러(약 1조3599억원)에 기술이전된 바 있다.

ADC는 항암제 일종으로 '항체-약물 접합제'라는 이름처럼 암세포 항원을 찾아가는 항체와 암세포를 죽이는 화학 약물을 결합한 치료제다. 항체가 암세포를 찾아 날아가면 붙어있던 약물이 터지면서 약효를 발효하는 원리다.

ADC는 항체와 약물을 연결하는 링커(linker)와 항체에 결합되는 약물인 페이로드(payloads)로 구성된다.

이번 계약에서 레고켐바이오가 제공하는 기술은 링커와 페이로드, 결합 방법(Conjugation)이다. 이 모든 기술을 아우르는 레고켐바이오의 ADC 플랫폼이 '콘쥬올(ConjuAll)'이다. 항체는 암젠이 보유한 물질을 사용한다. 두 회사의 협력으로 향후 5개 유전자를 타깃하는 ADC를 개발할 계획이다.

레고켐바이오는 이번 계약까지 포함해 ADC 분야에서만 총 12건의 기술이전을 체결했다. 2015년 중국 포순파마에 'LBC14'를 기술이전한 것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영국의 익수다, 미국 픽시스, 2021년에는 체코의 소티오와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 지금까지 누적 계약 금액은 6조5000억원이다.

ADC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항암제로 떠올랐다. 올해까지 총 11개 약물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 허가를 받았는데 최근 5년 동안 8개가 승인됐다. 시장조사 기관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ADC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58억달러(약 7조6000억원)에서 2026년 130억달러(약 17조원)로 연평균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인수합병(M&A)과 라이선스인 방법으로 경쟁적으로 ADC 파이프라인을 확보 중이다. 올해 7월에는 MSD가 ADC 전문 기업 시애틀제네틱스를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인 약 53조원에 인수를 시도하기도 했다.

암젠도 ADC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기 위해 레고켐바이오과 손잡은 것으로 분석된다. 암젠은 저분자화합물, 항체, RNA, 이중항체, CAR-T 등 거의 모든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했지만 유일하게 ADC가 없다. 레고켐바이오와의 기술이전 계약으로 부족했던 ADC 파이프라인을 확보한 것이다.

특히 암젠은 레고켐바이오 플랫폼의 안전성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ADC 항암제의 단점은 부작용 발생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유방암 치료제로 유명한 ADC인 '엔허투'도 3등급 이상 부작용 발생 비율이 50% 이상이다. 레고켐바이오의 후보물질 'LCB14'는 앞선 임상 시험에서 엔허투 대비 4배 이상의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를 보였다. 치료지수가 높을수록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좋다는 뜻이다.

이선경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안전성이 높은 레고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경쟁력은 이미 LCB14 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며 "차별화된 ADC 플랫폼을 찾고 있는 빅파마들에게 임상에서 입증된 레고켐 플랫폼은 좋은 후보이다"고 설명했다.

이창섭 기자 thrivingfire2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