갸륵한 말본새[이준식의 한시 한 수]〈192〉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2. 12. 23.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옥을 다듬은 듯 잘생긴 사내 왕정국(王定國)을 늘 부러워했거늘, 마침 하늘이 그에게 온화하고 예쁜 낭자를 내려주었지.

낭랑한 노랫소리 고운 이에서 나와, 바람을 일으키면 눈발이 뜨거운 바다에 날리듯 청량하게 바뀐다고들 말하지.

그러고 보니 그녀의 낭랑한 목소리가 새삼 돋보인다.

그 소리는 남녘의 찌는 듯한 바다에 눈발이 녹아들 듯 청량감을 안겨주고, 웃음 속에는 영남 땅 매화향이 배어 있는 듯 상큼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옥을 다듬은 듯 잘생긴 사내 왕정국(王定國)을 늘 부러워했거늘, 마침 하늘이 그에게 온화하고 예쁜 낭자를 내려주었지.

낭랑한 노랫소리 고운 이에서 나와, 바람을 일으키면 눈발이 뜨거운 바다에 날리듯 청량하게 바뀐다고들 말하지.

만릿길 먼 남쪽에서 돌아왔지만 얼굴은 더 젊어 뵈고, 미소 지으면 웃음 속엔 영남 땅 매화 향기 아직도 배어 있네.

영남 땅 살기가 어렵지 않았냐 물으니, ‘제 마음 편한 곳이 바로 제 고향’이라는 뜻밖의 대답.

(常羨人間琢玉郞, 天應乞與點소娘. 盡道淸歌傳晧齒, 風起, 雪飛炎海變淸凉.

萬里歸來顔愈少, 微笑, 笑時猶帶嶺梅香. 試問嶺南應不好, 却道, 此心安處是吾鄕.)

―‘왕정국의 시녀 우낭에게 주는 노래(증왕정국시인우낭·贈王定國侍人寓娘)’/‘정풍파(定風波)’ 소식(蘇軾·1037∼1101)

소동파가 친구 집 가기(歌妓)에게 노래 한 곡을 선사한다. 무슨 연유일까. 당파 싸움으로 동파가 남쪽 지방으로 밀려날 때 그의 정치적 동지 수십 명도 각지로 좌천되었다. 친구 왕정국 역시 그중 하나로 대륙의 최남단 광시(廣西)성으로 쫓겨났고 3년여 만에야 조정으로 복귀했다. 원래 그 집안에는 가기가 여럿 있었지만 이 좌천 길을 따라나선 여인은 우낭(寓娘)이 유일했다. 후일 친구와 재회한 자리에서 동파는 의리를 지킨 우낭의 사연을 접하게 된다. 그러고 보니 그녀의 낭랑한 목소리가 새삼 돋보인다. 그 소리는 남녘의 찌는 듯한 바다에 눈발이 녹아들 듯 청량감을 안겨주고, 웃음 속에는 영남 땅 매화향이 배어 있는 듯 상큼하다.

풍토병이 나도는 오지에서의 고생담이나 듣겠거니 생각하고 시인이 ‘영남 땅 살기가 어렵지 않았는가’ 슬쩍 물었는데, ‘제 마음 편한 곳이 바로 제 고향이지요’란 의외의 대답. 이 누긋하고 갸륵한 말본새에 시인은 탄사를 아끼지 않았다. ‘정풍파’는 송사(宋詞)의 곡조 이름으로 내용과는 무관하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