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엔 럭셔리 크루즈 여행 한번 가보자”...적자에도 주가 오른 美카니발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2022. 12. 22. 14: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분기 손실 작년 절반 수준 낮아져
코로나 방역 완화에 수요증가 기대
카니발의 크루즈 <자료=카니발>
올들어 60% 넘는 하락폭을 기록하며 부진했던 세계 최대 크루즈선 운영 기업 카니발의 주가가 반짝 반등했다. 적자 규모가 축소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여행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카니발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0.38달러(4.69%) 오른 8.4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카니발은 4분기(9~11월) 주당순손실이 0.8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손실을 기록하긴 했지만 그 폭은 시장 예상치인 0.88달러보다 적었고 전년 같은 기간(-1.72달러)의 절반 이하로 줄었다. 매출은 작년 4분기(12억8000만달러)보다 200% 증가한 38억4000만달러였다. 증권가 예상치였던 39억1000만달러에는 못미쳤지만 크게 늘어난 실적이다.

특히 투자자들은 미래 실적을 기대했다. 카니발은 11월말 사이버먼데이에 크루즈 여행 예약 건수가 2019년보다 50% 많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카니발은 “크루즈 여행에 대한 보복 수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수요를 인지한 회사는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을 끌어모았다. 크루즈 탑승 비용을 40% 할인해주거나 보증금을 깎아주기도 했고, 선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용 50달러를 지원해주기도 했다. 미국 투자전문매체 배런스는 “코로나19 방역 조치와, 물가가 크게 상승했던 지난 몇년간 소비자들은 앞으로 있을 크루즈 여행을 위해 자금을 모아뒀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 8월부터 회사를 이끌고 있는 조쉬 와인스타인 카니발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12월에도 이같은 예약 성장세는 이어졌다”며 “이는 더 많은 시장이 크루즈 여행에 개방되고 방역 정책이 완화될 2023년에 진입하는 지금 좋은 징조”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선 카니발에 대한 긍정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고 그만큼 카니발 실적도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티븐 위진스키 스타이펠 연구원은 “장기적인 원자재 비용 부담 감소로 인한 실적 개선 효과를 투자자들이 간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니발의 경우 에너지 비용 등이 늘었음에도 손실규모를 줄여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연료비 부담만 작년 4분기(2억8200만달러)에 비해 2배로 늘었지만 전체 손실은 줄었다. 카니발은 2023년 실적 전망치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월가의 애널리스트들은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높은 수요도 카니발 주가를 긍정적으로 점치는 요인이다. 위진스키 연구원은 “글로벌 크루즈 수요의 견고함을 고려하면 현재 카니발 주가는 저평가된 것으로 보인다”며 장기 투자에 적합한 종목으로 카니발을 제시했다.

다만 지난 3년간 코로나 시국에서 커진 재무부담은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카니발의 시가총액은 코로나19 발발 전인 2020년 1월 350억달러에 달했으나 현재는 90억달러 수준이다. 자금난으로 지난 7월 올해 들어서만 2번째인 10억 달러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기 때문이다. 잇따른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사치재’로 꼽히는 카니발의 서비스 수요도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미국 플로리다주에 본사를 둔 카니발은 뉴욕 증시에 상장돼 있으며 시가총액은 90억달러다. 올 한해(2021년12월~2022년11월) 카니발은 121억68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중 70억2200만달러(57%)는 승객 티켓에서 발생한다. 51억4700만달러(43%)는 크루즈 내에서 판매되는 음식이나 주류, 카지노 등 부대 시설에서 발생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