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증권·여전사 등 2금융권, 유동성 리스크 우려"

류난영 기자 2022. 12. 22. 13: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증권회사·여전사·저축은행 등 2금융권을 중심으로 유동성 부족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최근 증권사 및 여전사의 유동성 지표가 시장금리 상승 등에 따른 단기부채 증가의 영향으로 악화됐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증권사 유동성 비율 120.6%로 하락
부동산 PF 부실 우려로 이어질 수도
여전사, 차환리스크 커져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2월 카드사의 장기카드대출(카드론) 평균 금리가 상승했다. 또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감소에도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출이 증가했다. 20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전봇대에 카드 대출 관련 광고물이 부착돼 있다. 2022.03.20.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최근 증권회사·여전사·저축은행 등 2금융권을 중심으로 유동성 부족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최근 증권사 및 여전사의 유동성 지표가 시장금리 상승 등에 따른 단기부채 증가의 영향으로 악화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증권사의 유동성비율은 2019년 말 133.7%에서 올해 9월 말 120.6%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카드사는 220.3%에서 155.6%로, 캐피탈사는 169.8%에서 134.4%로 하락했다. 저축은행의 유동성비율도 9월 말 기준 135.3%로 규제수준(100%)을 크게 상회하고는 있으나 분기별로 큰 폭의 등락을 보였다.

한은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유동성 리스크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대내외 금융시장 불안 등 공통요인과 파생결합증권 관련 마진콜(증권회사), 거액예금이탈 가능성(저축은행) 등 업권별 특이요인이 맞물리면서 부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증권사는 부동산 경기 둔화시 PF 채무보증 이행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9월 말 기준 23조9000억원이다. 또 파생결합증권(DLS) 자체 헷지 증가로 대내외 주가 급락시 증권사의 마진콜 발생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자체 헷지 규모는 지난해 말 40조4000억원에서 올해 9월 말 44조4000억원으로 늘었다.

여전사는 대규모의 자금을 시장성 자금으로 조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시장 불안으로 여전채 발행 여건이 악화됐다.여전채(AA-, 3년만기) 금리는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신용경계감 등으로 지난해 1.97%에서 올해 1∼9월 4.03%로 큰 폭 올랐다.

또 여전사의 자금조달 구조 단기화로 차환리스크도 높아졌다. 여전사 자금조달 중 기업어음(CP)·단기사채 비중은 지난해 12.9%에서 올해 9월 17.7%로 높아졌다. 여전채 발행액 중 2년 이하 비중도 지난해 31.5%에서 올 9월 말 51.3%로 확대됐다.

아울러 여전사의 부동산PF( 27조1000억원) 대출 중 브릿지론은 유동성 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저축은행은 2018년 이후 급증한 거액예금(5000만원 초과 예금)의 이탈 가능성 등 수신 이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은행권의 수신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은 대출금리 인상 여력 제약으로 적극적인 수신금리 인상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은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더 커진 만큼 유동성 부족 상황에 대한 높은 경계감을 유지하는 한편, 비상자금조달계획을 점검하는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개별 기관도 충당금 적립 규모 확대, 긴급 유동성 확보를 위한 신용공여 약정 확대 등 선제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