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불안지수 위기 단계"…가계·기업 빚 3600조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글로벌 긴축과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인한 자금과 신용 시장 경색으로 우리나라의 금융불안지수가 위기단계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빠르게 불어나고 있는 기업대출이 잠재적 위협요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나리 기자, 한은이 최근 금융시장을 어떻게 보고 있던가요?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실물·금융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된 금융불안지수는 지난 10월과 지난달 각 23.6, 23.0으로 집계됐습니다.
올 들어 9월까지는 22 미만인 '주의' 단계였지만 이후 임계치인 위기 단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치솟았던 금융불안지수는 정부의 시장안정화 조치 이후 소폭 하락했는데요.
한은은 주요국 통화긴축과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레고랜드 사태 등이 겹치면서 가세해 채권·단기자금 시장의 자금중개 기능이 일부 제약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금융불균형 상황과 금융기관 복원력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금융취약성지수는 올 2분기 47.4에서 3분기에 44.9로 낮아졌습니다.
불안요인이 남은 4분기가 집계결과를 지켜봐야겠습니다.
[앵커]
부채 규모는 어떤가요?
[기자]
가계와 기업을 합친 민간 부채 규모는 명목 국내총생산, GDP의 2.24배로 사상 최대 수준입니다.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가계대출이 1870조 원인데요.
특히 3분기 말 기업대출은 1723조 원으로 1년 전보다 15% 증가했습니다.
GDP 대비 가계신용의 비율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한 분기 사이 105.7%에서 105.2%로 떨어졌지만 기업신용의 GDP 대비 비율은 116.6%에서 118.5%로 급등했습니다.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불균형이 완화됐지만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와 경기둔화로 인해 취약 가계, 자영업자, 한계기업 등의 잠재부실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봤습니다.
한은은 시장금리 상승 과정에서 부동산 경착륙 등으로 가계와 기업 건전성 저하, 2금융권 부실 우려가 잠재적 위험 요인이라며 미시적 시장 안정조치 등으로 선제적으로 불안 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