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가계부채·부동산 사업 대출 등이 금융 불안요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이 가계부채와 부동산 사업 대출 그리고 비은행의 자금 사정 등이 금융시장에 불안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조사에선 높은 가계 부채와 상환 부담이라고 답한 비율이 69.4%로 가장 많았고 기업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이 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 우려 등이 48.6% 순으로 모두 대내 요인이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가계부채와 부동산 사업 대출 그리고 비은행의 자금 사정 등이 금융시장에 불안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금융·경제 전문가들이 앞으로 단기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이 절반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오늘 발표한 올해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하반기 금융시장은 불안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대체로 자금 중개기능이 원활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지만 앞으로 몇 가지 불안 요소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계부채는 증가세가 꺾였지만, 사정이 좋지 않은 가계나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는 등 취약 계층에서 부실 위험이 점점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주택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순자산이 크게 감소해 고위험가구 비중이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는 부동산업, 건설업 등 관련 기업이나 부동산 사업 대출을 많이 취급한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힘든 증권사나 카드·캐피탈 등 여신금융전문회사가 유동성 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반 기업의 경우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 이후 회사채와 단기 어음(CP) 금리가 여전히 높아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금융·경제 전문가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앞으로 단기적으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58.3%로 2012년 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5월 조사 때는 금융 불안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물가상승이라고 답한 비율이 79.9%로 가장 많았고 주요국 통화정책이 55.4%로 대외 요인을 주로 꼽았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조사에선 높은 가계 부채와 상환 부담이라고 답한 비율이 69.4%로 가장 많았고 기업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이 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 우려 등이 48.6% 순으로 모두 대내 요인이었습니다.
따라서 시장 자금 사정이 급격히 악화될 조짐이 있으면 안정조치를 선제적으로 펼치고 가계 부채와 금융기관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여서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오수호 기자 (oasis@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전북 모든 시·군 ‘대설특보’…24일까지 최고 30cm 눈
- 비행기 타고 네팔 가는 101마리 젖소
- 젤렌스키-바이든 양자 회담…미 ‘패트리엇’ 첫 지원
- [단독] 경찰청장의 ‘특별’한 퇴근길…교통 통제까지?
- 이틀 만에 바뀐 ‘러닝메이트제’ 입장…교육부는 왜?
- [지구촌 돋보기] “다음은 내 차례”…미국 고소득 사무직 해고 한파
- 코로나19 사망자 적은 중국의 비법은?…“특별한 계산법 덕분이죠”
- 이번엔 ‘한파·폭설’ 동시 출격…대비 ‘비상’
- [단독] “사상자 100명 이상 추정”…사라진 ‘구조 상황’ 보고
- [제보] 비싼 요금제로 무단 변경…LGU+ “우리 탓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