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에 막말…‘공감의 원’ 축소는 문명의 후퇴 [핫이슈]
지지하는 정권 흔들까
두려움에만 공감해
유족에 막말과 혐오
공감의 원을 확대해온
문명화 과정에 역행
진실 규명하며 정쟁 막는 게
희생자에 대한 진짜 공감
◆ 핫이슈 ◆
막말과 혐오를 표출하는 이들 역시 똑같은 DNA를 가진 인간이니 공감과 연민의 능력이 없을 리가 없다. 하지만 그들의 능력은 자기 편으로만 향해 있음이 틀림이 없다. 참사가 정쟁이 돼, 그들이 같은 편이라고 믿고 지지하는 정권을 흔들 수 있다는 두려움에만 공감할 뿐이다. 자기 편으로 치우친 이 과도한 공감 때문에 억울하게 희생된 이들에 대한 최소한의 공감마저 지우고 막말과 혐오를 내뿜는 게 아닐까 싶다.
인간은 문명의 진화와 더불어 공감의 대상을 확대했다. 철학자 피터 싱어는 ‘확장하는 원 ? 사회 생물학과 윤리’라는 책에서 인류가 자기 못지않게 소중하게 여기는 대상의 범위를 점차 넓혀 왔다고 했다. 실제로 우리의 조상은 가족과 친족, 가까운 이웃의 고통에는 공감했으나, 더 넓은 범위의 이웃과 낯선 이들, 외부자에겐 공감과 연민을 억제했다. ‘공감의 원’에 들어가는 대상이 제한적이었던 것이다. 그 공감의 원이 너무나 작았던 셈이다. 하지만 문해력의 확장으로 책과 문학을 읽고, 타인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능력을 키우면서 인간의 공감 능력은 확장됐다. 내 편이 아닌 타인의 고통에도 아파할 수 있게 됐다. ‘공감의 원’이 넓어진 것이다. 이게 바로 문명의 진화다.
그러나 오늘 우리는 그 정반대를 본다. 내 편과 네 편을 갈라 친다. 상대에 대한 혐오를 분출한다. 억울하게 딸과 아들을 잃은 사람마저 무릎 꿇게 한다. 우리 사회는 점점 야만으로 내달리는 건가.
여당인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0일 유가족을 만나 위로한 건 참으로 잘한 일이다. 유가족의 고통을 접한 국민의힘은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에도 복귀하기로 했다. 유가족의 고통에 공감한 결과일 것이다. 옳은 결정이다.
일각에서는 여전히 ‘참사의 정쟁화’를 걱정하며 국정조사에 부정적인데 그렇게 볼 게 아니다. 공감은 이성과 감정이 균형을 이룰 때 힘을 발휘한다. 누군가 물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다고 해보자. 그의 고통에 마음이 아파 수영을 전혀 못하는 이가 깊은 물속으로 뛰어드는 건 진짜 공감이 아니다. 상대가 어떤 처지이며 무엇이 필요한지를 이성적으로 이해하고 그를 돕는 게 공감이다. 참사를 정쟁화하는 건 유가족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 오히려 해가 될 뿐이다. 이런 일은 막아야 한다. 그게 진짜 공감이다. 유가족의 고통에 공감하면서 진실을 규명하는 국정조사에 충실하는 게 중요하다. 국정 조사에 참여하는 여야 모두가 그래야 한다. 여여가 서로 견제하고 균형을 이룰 때 국정조사의 목적을 더 잘 달성할 수 있다.
김인수 논설위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메시 보러 TV 돌리다가 딱 걸린 홈쇼핑, 매출 껑충 뛴 품목은 - 매일경제
- “괜히 임대사업자 등록했다가 망하게 생겼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이것 없이 잠 못자…한파에 판매량 급증한 난방용품은 - 매일경제
- “전셋값 40% 하락 시나리오도”…13만가구 보증금 비상 - 매일경제
- 삼전 하이닉스 어쩌나…마이크론“메모리 내년 매출 반토막” - 매일경제
- 실내 마스크 드디어 벗나...당정, 착용 의무 해제 오늘 논의 - 매일경제
- 주식 초고수가 콕 찍은 새내기 공모주…상장 첫날 날았다 - 매일경제
- “담배 피우지마” 훈계했더니…40대女에 ‘날아차기’한 10대 - 매일경제
- [속보] 방역당국 “일정기준 충족땐 실내 마스크 의무, 권고로 변경” - 매일경제
- 이정후, 1100억 초대박 요시다 넘고 한국 최고 대우 경신?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