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안보 강화·10년 뒤 달 착륙…‘지구밖 진출’ 청사진 나왔다
정부가 앞으로 우주에서 국가안보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 2030년대를 목표로 한반도를 우주에서 스스로 감시·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계획이다.
우주 개척과 관련해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을 포함한 국제공조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 같은 노력을 발판으로 정부는 2032년 달에, 2045년에는 화성에 무인 착륙선을 보낼 계획이다. 전남과 경남, 대전에는 각종 제조·연구시설을 집적한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만든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22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어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을’ 비롯해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은 국가 우주개발의 중장기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5년에 한번씩 수립되며, 이번 4차 기본계획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운영된다.
4차 기본계획의 핵심은 ‘2045년 우주경제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한 것이다. 2032년에 달 착륙을, 2045년에는 화성 착륙에 성공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고, 무인 탐사를 위한 독자 능력을 확보하는 데 기술 개발의 역점을 뒀다. 또 2045년에는 우주인을 태운 발사체 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까지 제시했다.
정부는 2030년대까지 자생적인 우주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2045년에는 우주산업이 한국의 10대 주력산업이 되도록 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우주산업의 초기 시장을 창출할 계획이다.
‘우주안보’ 역량 확충 포함
특히 이번 4차 기본계획에는 ‘우주공간에서 안보 역량을 기른다’는 대목이 들어갔다. 2030년대까지 국내 감시·관측 인프라를 확대하고, 2040년대에는 국제 공조에 기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역량을 높이는 게 핵심 목표다.
전날 사전 브리핑에서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이번 4차 기본계획의 특징은 ‘우주안보’가 포함된 것”이라며 “우주물체 충돌·추락뿐만 아니라 우주안보 자산 확충까지 들어간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오 차관은 “우주개발을 하면서 민간 역량, 그리고 군의 역량을 합쳐 나가야 한다”며 “그런 부분이 이번 기본계획에 반영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감시·관측 인프라 확대가 정찰위성 개발과 운영을 뜻하는 것이냐는 질의에 오 차관은 “정찰위성이냐 아니냐는 지금 단계에선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며 “안보와 관련한 사안이라는 점이 고려돼야 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19일 ‘정찰위성 시험품’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서울 도심과 인천항이 촬영됐다. 한국은 아직 자체 정찰위성이 없어 미군의 자산에 의존하고 있다. 첫 독자 정찰위성 발사는 2024년 예정돼 있다.
국제공조 강화…“아르테미스 참여 기술 제시”
정부는 4차 기본계획을 통해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는 등 우주개발과 관련한 국제 공조에도 더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오 차관은 최근 미국과의 협의 사항을 공개했다.
그는 “지난 15~16일 서울에서 열린 제3차 한미 민간우주대화를 통해 아르테미스 계획에서 한국이 참여할 수 있는 분야들을 구체적으로 미국 측에 보냈다”며 “미국 측에서는 항공우주국(NASA)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검토해서 조만간 답을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과도 우주 기술·사업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4차 기본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정부는 우주개발 투자액을 2021년 7300억원에서 2027년에는 1조5000억원으로 2배 늘린다.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각종 우주 관련 법령도 체계화한다.
전국 3곳에 ‘우주산업 클러스터’
정부는 앞으로 한국이 우주개발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우주산업 클러스터’ 3곳을 만들기로 했다.
‘발사체 특화지구’가 들어설 전남은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곳이다. 특화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민간 발사장 등 핵심 기반 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위성 특화지구’가 만들어질 경남은 관련 기업이 집중돼 있고 제조 역량이 뛰어난 곳으로 정부는 평가했다. 산업단지와 우주환경 시험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연구·인재 개발 특화지구’가 들어설 대전에는 미래형 연구개발과 우수 인력 양성을 중점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 정부는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계획’도 추진해 다수의 영상 레이더 위성과 광학 위성으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위기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체계도 만들기로 했다. 이는 군집위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해양안보를 강화하고 재난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사업에는 과기정통부와 국방부, 해양경찰청 등이 참여한다. 2022년부터 2030년까지 1조4223억원이 투입된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