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홀씨, 꽃의 개화…자연의 아름다움 공학 기술로 재해석

이한나 기자(azure@mk.co.kr) 2022. 12. 21. 15: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키네틱 아트 듀오 ‘드리프트’
한남동 스토리지서 亞 첫 개인전
자연서 소재 찾아 공학기술과 결합
신라면 분해한 블록 작품 첫 선
Fragile Future(2022) <사진제공=현대카드 스토리지>
fragile future <사진제공=현대카드>
진짜 민들레 홀씨였다. 어두운 전시장에서 환상적으로 퍼지는 빛 설치 작품 ‘Fragile Future’(깨지기 쉬운 미래) 안에 들어있었다. 봄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일대에서 채취한 1만5000송이 민들레를 건조시키고 씨앗 하나하나를 핀셋으로 떼내 LED전구에 붙여 만들었다. 서울전은 모듈 1500개 버전을 선보였다.

자연과 기술의 공존을 탐구해온 네덜란드 출신 키네틱 아트(움직이는 예술) 듀오 ‘드리프트’(Drift)의 대표작이다. 서울 한남동 현대카드 스토리지에서 드리프트의 아시아 첫 개인전 ‘In Sync with the Earth’(자연과의 접속)이 펼쳐졌다. 부분과 전체,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이 조화를 이룬다.

네덜란드 명문 디자인아카데미아인트호벤에서 만나 공감대를 형성한 로네케 홀다인(42)과 랄프 나우타(44)는 2007년부터 예술팀을 결성하고 조각과 설치, 미디어아트 등 장르를 넘나들며 맹활약하고 있다. 페이스 갤러리 전속 작가로서 미국 필라델피아미술관과 영국 빅토리아앤알버트박물관 등에서 전시했고, 특히 지난해 미국 뉴욕 쉐드에서 열린 개인전은 강력한 이미지로 화제였다.

신라면을 분해한 ‘물질’연작 앞에 선 키네틱 아트 듀오 드리프트의 로네케 홀다인(왼쪽)과 랄프 나우타 <사진제공=현대카드>
Shylight <사진제공=현대카드 스토리지>
또다른 대표작 ‘Shylight’는 꽃의 수면활동을 통해 잎과 봉우리가 스스로 움직이는 모습이 수직 강하 운동, 필립 글래스의 음악과 함께 나타나 일종의 무용극 같다. 아래로 내려오면서 우아하게 펼쳐지는 실크 꽃잎은 100번 이상 레이저 커팅과 40시간 넘는 손바느질로 탄생했다. 이 작품은 최근 서울 마곡에 이전 개관한 LG아트센터에 설치된 작품의 어머니격이다. 화담숲 꽃을 모티브 삼아 다양한 색깔을 입은 꽃 20개가 내려오는 ’Meadow’다. 우리가 지나치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포착하고 다시금 돌아보게 만든다.

이번 전시에는 모듈화해서 다채롭게 구현하는 움직이는 설치작업 외에도 정지 상태의 개념미술 ‘Materialism’(물질) 신작도 선보였다. 일상사물을 물질 단위로 풀어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1:1:2의 비율 직육면체로 블록화하니 마치 도시 모형과도 같다. ‘바비인형’이나 ‘게임보이’ 등 남녀 성차가 분명한 제품이나 럭셔리 시계 ‘롤렉스’와 저렴한 시계 ‘카시오’등 가격차가 큰 제품 비교도 흥미롭다. 한국 전시를 위해 특별히 만든, 신라면을 분해한 작품은 무척 귀엽다.

Shin-Ramyun_Materialism <사진제공=현대카드 스토리지>
Materialism 연작 중에서 ‘The Artst she/her’와 ’The Artst he/him‘전시 전경 <사진제공=현대카드 스토리지>
‘The Artst she/her’(오른쪽)와 ’The Artst he/him‘전시 전경 <사진제공=현대카드 스토리지>
특히 물질 연작의 ‘The Artst she/her’와 The Artst he/him’은 여성과 남성을 각각 대표하는 작가들이 물, 전해질,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헤모글로빈, 비타민 등 인체의 물질 비율을 5단계 연령대(0세, 4세, 40세, 80세, 사망)순으로 나열한 작품이다. 인간이나 자연, 인공이나 기술간 차이가 한끝차다. 모든 존재가 ‘소우주’를 형성하는 불교적 사유와도 통한다.

로네케 홀다인은 “내가 자연에 관심이 많다면, 랄프는 기술에 관심이 많아 공동작업이 조화롭다”며 “물질 연작은 일상물건이 어떻게 만들어졌나 알고 싶은 호기심에서 출발했지만, 새롭게 연결되는 비전도 열어준다”고 밝혔다. 그는 “작품을 통해 느끼는 감정이 없다면 소통도 없다”며 “관람객들이 작품을 통해 우리 삶의 연결성도 느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인증샷 성지로 예감된다. 전시는 내년 4월 16일까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