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알겠습니다[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74〉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2022. 12. 21.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70년대 어느 겨울, 러시아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
주인은 무서운 눈보라를 만나 죽게 생기자 자기만 살겠다고 하인을 버린다.
그사이에 하인은 눈으로 덮여 죽어가고 있다.
톨스토이의 유명한 단편 '주인과 하인'에 나오는 이야기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70년대 어느 겨울, 러시아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 주인은 무서운 눈보라를 만나 죽게 생기자 자기만 살겠다고 하인을 버린다. “저런 놈은 죽어도 상관없지. 어차피 별 볼 일 없는 놈이다. 저런 놈은 목숨도 아깝지 않을 거야. 그러나 나는 살 가치가 있는 사람이다.” 그에게 하인은 버려도 되는 물건 즉 그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말을 달려도 눈 속에서 방향을 잃고 주변만 빙빙 돌 뿐이다. 그는 말에서 굴러떨어지고 나서야 그 사실을 깨닫는다. 그사이에 하인은 눈으로 덮여 죽어가고 있다. 주인은 그 모습을 보더니 놀라운 행동을 한다. 하인의 몸에 쌓인 눈을 털어내고 자신의 모피 외투 앞자락을 벌리고 하인 위에 엎드린 것이다. 자신의 따뜻한 몸으로 하인을 살리기 위해서다. 결과적으로 그는 하인을 살리고 죽는다.
톨스토이의 유명한 단편 ‘주인과 하인’에 나오는 이야기다. 돈만 생각하며 살아온 이기적이고 악랄한 주인이 어떻게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을까. 작가는 그의 내면에 있는 어떤 존재 때문이라고 암시한다. 그의 이름을 부르며 하인의 몸 위에 엎드리라고 명령한 것도, 과거의 행동들을 참회하고 자신이 하인이고 하인이 자신이라고 생각하게 한 것도 그 존재라는 것이다. “그는 살아 있어. 그렇다면 나도 살아 있는 거야.” 지배층이 하층민을 이용의 대상 즉 마르틴 부버가 말하는 “그것”이 아니라 받들고 존중해야 하는 인격적 대상 즉 “너”로 보게 만드는 존재.
톨스토이는 그러한 존재가 우리 안에 있어서 사랑과 희생 쪽으로 우리를 떠민다고 생각했다. 우리 안에 있는 신성(神性), 그것이 일으키는 윤리의 바람이 우리의 등을 떠밀어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도록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 신성의 명령에 “네, 알겠습니다”라고 응답하고 그저 따르면 된다는 거다. 인간에 대한 한없는 믿음이 없다면 가능하지 않은 사유다. 나의 몸으로 타인의 얼어붙은 몸을 녹이라는 것. 이것이 톨스토이가 일깨우는 종교원론이다.
그런데 아무리 말을 달려도 눈 속에서 방향을 잃고 주변만 빙빙 돌 뿐이다. 그는 말에서 굴러떨어지고 나서야 그 사실을 깨닫는다. 그사이에 하인은 눈으로 덮여 죽어가고 있다. 주인은 그 모습을 보더니 놀라운 행동을 한다. 하인의 몸에 쌓인 눈을 털어내고 자신의 모피 외투 앞자락을 벌리고 하인 위에 엎드린 것이다. 자신의 따뜻한 몸으로 하인을 살리기 위해서다. 결과적으로 그는 하인을 살리고 죽는다.
톨스토이의 유명한 단편 ‘주인과 하인’에 나오는 이야기다. 돈만 생각하며 살아온 이기적이고 악랄한 주인이 어떻게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을까. 작가는 그의 내면에 있는 어떤 존재 때문이라고 암시한다. 그의 이름을 부르며 하인의 몸 위에 엎드리라고 명령한 것도, 과거의 행동들을 참회하고 자신이 하인이고 하인이 자신이라고 생각하게 한 것도 그 존재라는 것이다. “그는 살아 있어. 그렇다면 나도 살아 있는 거야.” 지배층이 하층민을 이용의 대상 즉 마르틴 부버가 말하는 “그것”이 아니라 받들고 존중해야 하는 인격적 대상 즉 “너”로 보게 만드는 존재.
톨스토이는 그러한 존재가 우리 안에 있어서 사랑과 희생 쪽으로 우리를 떠민다고 생각했다. 우리 안에 있는 신성(神性), 그것이 일으키는 윤리의 바람이 우리의 등을 떠밀어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도록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 신성의 명령에 “네, 알겠습니다”라고 응답하고 그저 따르면 된다는 거다. 인간에 대한 한없는 믿음이 없다면 가능하지 않은 사유다. 나의 몸으로 타인의 얼어붙은 몸을 녹이라는 것. 이것이 톨스토이가 일깨우는 종교원론이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상위 10% 건설사도 부도, 건설경기 12년만에 최악
- 尹, 청년들 만나 “3대 개혁 중 노동개혁 가장 먼저 추진”
- 당원 100%에 결선투표까지…국힘 전대 룰 개정, 과연 통할까[중립기어 라이브]
- 與 80만 당심 어디로… 권·김·나·안·유 경쟁, 복잡해진 셈법
- 與 “노조 회계부정 근절” 입법 나섰다
- 文정부 통계조작의혹에 與 “국조해야” 野 “정치보복”
- 정부 “추가근로제 연장 안되면 中企 고통” 입법 호소
- 원희룡 “건설노조 불법행태, 경제에 독… 방치 않을 것”
- ‘무자본 갭투자’ 전세사기… 2030 피눈물
- 이창용 “가계빚 위험해, 줄여야” 내년에도 고금리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