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씀씀이는 다르구나”...명품 덕 매출 1조 넘긴 백화점 11곳

홍성용 기자(hsygd@mk.co.kr) 2022. 12. 20. 1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황에도 백화점 매출은 순항
신세계 강남 올해 2조8500억
명품 매출 26% 늘어난 영향
롯데 잠실점도 매출 2조 돌파
연말까지 매출이 2조85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되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왼쪽)과 올해 처음 2조원 매출을 달성한 롯데백화점 잠실점 전경. [사진 제공 = 신세계백화점·롯데백화점]
백화점 단일 점포 매출 3조원 시대가 초읽기에 들어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올해 연말까지 매출이 2조8500억(추정)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 처음으로 2조원 매출을 달성한 롯데백화점 잠실점도 연말까지 2조4000억원(추정)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2조원대 매출을 달성한 두 점포를 포함해 올해 1조원 매출을 넘어서는 백화점은 전국에 11곳이다. 롯데는 본점·부산본점, 신세계는 센텀시티점·대구점·본점, 현대백화점은 판교점·무역센터점·본점, 갤러리아 명품관 등이다.

신세계 강남점은 2019년에 매출 2조원 시대 문을 연 첫번째 백화점으로,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0~2021년에도 2조원대 매출을 꾸준히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2조5000억원 매출을 기록하면서 프랑스 파리의 ‘갤러리 라파예트’, 일본 도쿄의 ‘이세탄 신주쿠’, 영국 런던의 ‘해러즈’ 등 전 세계 주요 백화점 매출을 앞서기도 했다.

신세계 강남점의 꾸준한 매출 상승은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를 모두 보유하면서 럭셔리 경쟁력을 강화한 결과다. 실제로 신세계 백화점의 전체 매출 중 명품 비중은 2019년 16% 수준에서 지난해 25%까지 커졌고, 올해도 26% 수준으로 집계된다. 코로나19 장기화와 함께 고물가 저성장 국면의 도래로 지갑이 닫힐 것으로 예상됐지만, 백화점 명품 불패는 계속되는 것이다.

특히 신세계 강남점의 고속성장은 2016년 22개월에 걸친 증축과 재단장으로 시작된다. 당시 영업면적을 기존 1만6800여평에서 2만6200평까지 늘리며 서울지역 최대면적의 백화점이 됐다. 재단장 이후 백화점 공식으로 여겨졌던 ‘1층=명품’ 상식을 깨고, 매출이 가장 많이 나온다는 2~3층 공간에 명품을 배치했다. 대신 1층은 명품 화장품 브랜드 등 럭셔리 화장품을 총집합한 국내 최대 럭셔리 화장품 전문관으로 바꿨다.

명품 매장에는 회화, 사진, 오브제 등 미술품 250여 점을 매장 곳곳에 상설 전시하면서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신세계는 2017년 업계 최초로 우수 고객(VIP)에 연간 구매 금액 400만원 기준으로 ‘레드’ 등급(400만원)을 신설한 것도 매출 증가에 영향을 줬다. 업계 관계자는 “신세계의 VIP 고객은 다른 백화점 대비 문턱이 낮다”며 “MZ세대 등 미래 VIP를 모객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롯데백화점 잠실점은 백화점·에비뉴엘(명품관)·몰까지 아우르는 초대형 점포로, 올해 첫 매출 2조원을 달성했다. 롯데물산에서 에비뉴엘을 운영하다가 백화점과 통합 운영되는 것으로 방침이 바뀌면서 매출이 급증했다. 특히 잠실점은 석촌호수 러버덕 전시와 테니스 팝업 스토어 등을 통해 롯데몰과의 시너지 효과를 키우는 데 집중했다.

현대백화점 16개 점포 중 매출 1위를 기록하는 판교점은 올해 1조5000억원 매출 턱밑까지 쫓아왔다. 2024년께 2조원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0월 경기권 최초로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가 입점했고, 11월에는 명품 주얼리 반클리프 앤 아펠이 문을 여는 등 명품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서울 여의도의 더현대서울은 내년에 업계 최초로 개점 3년만에 매출 1조 달성이 유력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소비심리가 악화하는 상황에서도, 경기에 소비가 좌우되지 않는 VIP 고객의 매출이 백화점 전체 매출의 최대 40%까지 차지한다”며 “양극화가 더 심화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고물가·고환율 영향으로 해외명품 등 수입상품의 가격이 오르고, 식료품이나 패션 등 잡화의 가격이 오른 것도 백화점 매출 증대에 영향을 미쳤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