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견기업 매출 10.7% 증가 852.7조…205곳 대기업 성장

주문정 기자 2022. 12. 20. 15: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중견기업 매출액이 전년보다 10.7% 증가한 852억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2021년 중견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2021년말 기준 국내 중견기업 수는 5천480곳으로 전년보다 소폭 줄어들었지만 매출액·종사자수·영업이익 등 실적을 증가했다.

매출액은 전년보다 10.7% 증가한 852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투자액 15.2% 증가한 30.7조…신사업 추진 중견기업 24.6%

(지디넷코리아=주문정 기자)지난해 중견기업 매출액이 전년보다 10.7% 증가한 852억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한 해 전체 중견기업은 전년 5천526곳보다 46곳 줄어든 5천480곳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2021년 중견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2021년말 기준 국내 중견기업 수는 5천480곳으로 전년보다 소폭 줄어들었지만 매출액·종사자수·영업이익 등 실적을 증가했다.

중견기업 수가 줄어든 것은 중견기업 205곳(8개 기업집단)이 대기업으로 성장해 중견기업에서 제외됐고 관계기업을 중심으로 한 합병해산·휴폐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중소기업 467개가 중견기업으로 진입했다.

최진식 중견기업인연합회 회장이 지난달 7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8회 중견기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종사자는 1만6천명 증가한 159만4천명,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2조7천억원과 16조1천억원 증가한 852조7천억원과 53조2천억원을 기록했다. 자산은 45조2천억원 늘어난 1천34조1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전년보다 10.7% 증가한 852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전기장비·기계·화학 등 제조업 매출이 전체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

매출액 1조원 이상 기업은 전년도 107곳에서 115곳으로 늘어났고 매출액 3천억원 미만 중견기업은 4천943곳에서 154개 줄어든 4천789곳으로 집계됐다.

종사자수는 전년도와 비슷한 63만1천명 수준이며 정보통신·운수 등 비제조업 종사자 수가 1% 증가한 96만3천명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제조·비제조업 모두 증가해 53조2천억원을 기록했다. 제조업은 25조2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4.8%, 비제조업은 전년보다 42.1% 증가한 28조원으로 코로나10 이전 수준 이상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신사업을 추진 중인 중견기업 비율은 24.6%로 전년보다 1.3% 증가했다. 특히 제조 중견기업은 절반 이상인 52.8%가 추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사업 추진 분야는 미래자동차가 27.7%로 가장 많았고 에너지 13.7%, 바이오헬스 12.3%, 정보통신 11.0% 순으로 나타났다.

총 투자액은 30조7천억원으로 저년보다 15.2% 증가했다. R&D와 설비투자 실적이 2018년 이후 3년 만에 동반 상승했다.

중견기업들은 어려운 대내외 경제 상황에도 R&D 투자금액은 지속해서 확대할 것으로 답했다. 지난해 8조4천억원에서 올해 8초8천억원, 내년 9조1천억원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신규채용은 26만7천명으로 전년보다 15.6% 늘어났다. 청년채용은 전체 채용의 65.8%인 17만6천명으로 전년보다 16.5% 증가했다.

신입사원 초임은 대졸 기준 3천566만원으로 전년보다 142만원 증가했다.

중소깅버 회귀검토 기업은 6.2%로 전년 6.6%보다 소폭 줄었다. 회귀검토 이유로는 ▲조세지원 축소(58.0%) ▲금융지원 축소(15.4%) ▲중소기업적합업종 등 판로제한(14.8%)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확대를 희망하는 정책은 금융이 32%로 가장 많았고 조세(31.1%), 전문인력 확보 지원(11.2%) 등이 뒤를 이었다.

김홍주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은 “2021년은 계속된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물류대란, 미·중 무역분쟁, 공급망 위기 등으로 기업 경영에 어려움이 컸음에도 중견기업은 매출, 신규채용, 투자 등 실적이 전반적으로 예년에 비해 증가했다”며 “중견기업 기본통계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규제개선, 세제·금융지원 확대 등 성장 걸림돌 제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문정 기자(mjjoo@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