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총리 "과거 노예제 사죄·반성"…후손단체 "신식민주의적" 반발

정윤미 기자 2022. 12. 20. 11: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가 19일(현지시간) 과거 국가가 수백 년간 노예무역을 이행한 데 대해 공식 사과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앞서 자문위는 네덜란드의 노예제 참여는 국가 차원의 공식 사과와 재정적 배상이 수반되는 반인륜적 범죄로 규정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뤼터 "국가, 노예·후손에 대한 막대한 고통·책임 지고 사죄"
후손단체 "당사자와 충분 협의 없어…국왕 직접 사과 촉구"
19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마르크 뤼터(오른쪽) 네덜란드 총리가 자국의 과거 노예제 운영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과거 식민지였던 수리남에서 온 마리안 말켈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2.12.19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미 기자

(서울=뉴스1) 정윤미 기자 =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가 19일(현지시간) 과거 국가가 수백 년간 노예무역을 이행한 데 대해 공식 사과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뤼터 총리는 이날 헤이그 국립기록보관소에서 연설을 통해 지난 수 세기 동안 네덜란드가 "노예제를 가능케 하고 장려했으며 이익을 얻었다"며 이 같은 과거를 "지울 수 없기에 오직 직시할 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네덜란드 국가 이름으로 상품화됐고 학대당했으며 거래됐다"며 "오늘날 아무도 노예제에 대한 개인적 죄책감을 느끼고 살진 않지만 국가는 노예가 된 사람들과 그들 후손의 막대한 고통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를 대표해 오늘 과거 자국의 행동에 대해 사죄한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내년 7월부터 국가가 "이 고통스러운 역사를 반성한다"는 의미에서 노예제를 추념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정부의 사과 조치는 국가자문위원회 결론에 따른 것이다. 앞서 자문위는 네덜란드의 노예제 참여는 국가 차원의 공식 사과와 재정적 배상이 수반되는 반인륜적 범죄로 규정했다. 정부는 배상 대신 2억유로(약 2756억1400만원) 상당 교육기금을 설립키로 했다.

네덜란드는 1621년 아메리카 신대륙과 아프리카 서안에서 무역과 식민 지배를 목적으로 서인도회사를 설립했다. 1634년 당시 아프리카 노예무역 중심지였던 황금해안(Gold Coast·가나 일부)에서 1000명을 납치해 자국의 플랜테이션을 위해 브라질로 보낸 것이 네덜란드 노예제의 시초다.

역사학계에 따르면 16~17세기 전성기에 최대 60만명 노예를 가졌으며 이들은 국내총생산(GDP)의 최소 10%를 차지한다고 추산했다.

네덜란드는 1863년 7월1일 해외 모든 식민지의 노예제를 공식 폐지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노예제를 불법화했다고 신문은 짚었다. 정부는 2006년에 들어서 자국의 노예제를 역사 교과서에 실었다.

다만 정부의 사과에 대해 충분치 않다는 국내외 비판 여론이 끊이질 않고 있다. 활동가들은 옛 식민지 수리남의 노예제 폐지 150주년을 맞이한 내년 7월1일에 빌럼 알렉산더르 국왕이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과거 식민국가와 노예 후손 단체들은 네덜란드 정부가 당사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고 성급하게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며 여전히 식민주의적 태도를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버리아 제이콥스 네덜란드령 신트마르턴 총리는 "우리 자문위와 국가 차원에서 논의하기 전까지" 네덜란드 정부의 사과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트마르턴 활동가 로다 애린델은 "우리는 진정한 보상적 정의를 위해 수백 년을 기다려왔다"며 "조금 더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아프리카계수리남 명예회복재단의 로이 카이쿠시 그로엔버그는 네덜란드 정부가 이 문제를 다루는 방식은 "신식민주의적 행동"이라며 후손과의 충분한 협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younm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