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경제 선순환 구축’ 중심의제 놓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원도의 전진이냐, 쇠퇴냐 기로에 서는 특별자치가 반년 앞으로 다가선 가운데 대학문제를 보다 비중있게 다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지역발전과 혁신자원의 보고인 대학이 특별자치도 출범 준비의 중심의제여야한다는 문제 제기입니다.
지역사회와 대학의 상생 방안을 모색해온 강원도대학포럼(이하 대학포럼)측은 최근 '강원특별자치도 시대,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정부와 대학의 책무'에서 복합적인 논의 틀의 시급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원도의 전진이냐, 쇠퇴냐 기로에 서는 특별자치가 반년 앞으로 다가선 가운데 대학문제를 보다 비중있게 다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지역발전과 혁신자원의 보고인 대학이 특별자치도 출범 준비의 중심의제여야한다는 문제 제기입니다. 지역사회와 대학의 상생 방안을 모색해온 강원도대학포럼(이하 대학포럼)측은 최근 ‘강원특별자치도 시대,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정부와 대학의 책무’에서 복합적인 논의 틀의 시급성을 강조했습니다.
최신 정보와 지식을 보유한 대학이 선순환 발전구조의 시발이 돼 경제적 기여는 물론 사회, 문화 전 영역의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 사례를 통해 이미 수십년 전부터 대학의 역할은 교육과 연구 기능을 넘어섰습니다. 학내 울타리를 없애고 지역사회와 적극 협력 속에서 그 지역 먹거리를 제공하는 기업현장이자 지역혁신 주체로 위상이 정립돼 있습니다. 대학 문제는 단순히 인재 육성에만 국한된 사안이 아닌 것입니다.
충청도, 경상도에 이어 광주시의 성장 동력 견인에 과학기술부 산하 대학이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피부로 절감합니다. 대전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시작으로 대구·광주·울산에 과학기술원이 들어서고 경북은 포항공과대가 혁신의 한 축이 됐습니다. 과기부는 학생 1인당 연 1억원에 육박하는 막대한 재원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들 대학은 비수도권에 있는데도 서울권 대학보다 경쟁력을 보유하게 된 비결은 다름아닌 ‘막대한 투자’에 있다는 분석입니다.
박정원 대학포럼 공동대표는 특별자치를 시작하는 강원도가 스스로 ‘투자’의 일선에 설 것을 지적했습니다. 도내 고교 저소득층 재학생부터 지역대학 무상교육제를 도입해 학부모 부담을 줄여 인재를 모으지 않으면 안된다고 밝혔습니다. 세계 21개국이 대학무상교육제도를 도입했고 확대 추세이므로, 강원도가 광역지자체 중 우선 착수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고도의 자치분권을 통해 지역문제를 스스로 결정해 책임지는 권한과 방안이 대폭 늘어나는 특별자치에 걸맞게 전향적인 인식 전환이 요구됩니다.
도내 각 대학 및 도교육청 고유 사무로 파편화할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기업, 경제계가 함께 지역 미래 선순환 고리를 구축하는 협력체제 속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대학포럼측이 내년 2월 중 도의회와 공동 논의의 장을 갖기로 한만큼 강원도 역시 더 능동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습니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골든볼 메시' 아르헨티나에 세번째 우승 안기며 한풀이…'골든부트 음바페' 빛바랜 해트트릭
- [월드컵 이야기] 아르헨 549억원 우승상금 '역대 최다'…프랑스는 392억원
- 내년부터 휘발유 유류세 인하폭 37%→25%…경유는 그대로 유지
- 54년 역사 춘천 대원당 확장이전 “동네빵집과 공생 나설 것”
- 6명이 300인분 조리…“급식종사자 대부분 근골격계 환자”
- 춘천~속초 동서고속철도, 구간별 실제 공사 착수는 언제?
- 강원외고·민사고 2023학년도 신입생 지원율 전년비 반등
- 이재명 "MB 사면, 가장 불공정하고 몰상식한 결정될 것"
- 전어 수만마리 떼죽음…고성 송지호에 무슨일이?
- 한판 평균가격 7000원 육박…계란 대란 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