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금리·고물가 이어 새해 민생 덮쳐올 고용 한파

조선일보 2022. 12. 20. 03: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 16일 서울 강동구청에서 열린 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앙상한 나무 그림자가 드리워진 채용공고 게시판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다./연합뉴스

KDI는 내년 취업자 수 증가폭이 8만4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79만명 증가에 비해 10분의 1 토막이 난다는 것이다. 내년도 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자 기업들이 긴축 경영에 나서면서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인력 감축에 들어갔다. 증권·유통·해운·건설업계가 희망퇴직을 받거나 부서를 통째로 없애고 있고, 임금 인상을 주도했던 IT 업계와 스타트업들도 언제 그랬나 싶게 감축으로 돌아섰다. 은행권조차 3000여 명 희망퇴직을 추진하고 있다. 고용 한파가 닥쳐오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 거리 두기가 끝나면서 취업자 수가 80만명 가까이 늘었지만 주로 임금 수준이 낮은 분야 위주로 일자리가 늘어났다. 청년층보다 60세 이상이 고용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추세도 계속됐다. 내년에는 그마저도 줄어 고용의 양과 질 모두 낮아질 것이라고 한다. 취업자의 16%를 차지하는 제조업마저 고용 부진에 빠져들 우려가 커진 것이다.

경기 침체 속에서 일자리를 지키려면 기업들의 투자 의욕을 북돋아주는 방법밖에 없다. 아직도 국회에 발목 잡혀 있는 법인세 인하 법안과 반도체 특별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 주 52시간 근로제를 비롯한 각종 규제도 과감히 풀어야 한다. 기업들도 경기 침체에 긴축 경영은 불가피하지만 손쉽게 고용부터 줄여선 안 된다. 성장 동력을 훼손시킬 수 있다. 인력 감축이 소비 위축을 초래하는 악순환은 기업에도 손해다. ‘영끌’로 집 산 젊은 세대가 고금리에 시달리는데 일자리마저 잃게 되면 내수는 더 얼어붙는다. 기업들은 청년 고용을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관점으로 바라봐야 한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