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3년째 ‘100조 적자’ 나라살림, 재정준칙 없인 파탄 치달을 것
2022. 12. 20. 0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 한 해 한국의 나라살림 적자가 10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재작년 112조 원, 지난해 90조6000억 원에 이어 3년 연속 100조 원 안팎의 적자다.
올해 한국의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00조 원을 넘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연속 적자를 내게 된다.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가 나라 안팎에서 제기되자 재정 건전성 지표가 일정 기준을 넘지 않도록 통제하는 규범인 재정준칙을 도입하겠다고 한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한 해 한국의 나라살림 적자가 10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재작년 112조 원, 지난해 90조6000억 원에 이어 3년 연속 100조 원 안팎의 적자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경제기구, 국가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글로벌 신용평가회사들은 급증하는 한국의 재정적자에 이미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올해 한국의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00조 원을 넘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연속 적자를 내게 된다. 2019년 54조4000억 원이던 적자는 2020년에 갑절 넘게 급증한 뒤 계속 100조 원 주변을 맴돌고 있다. 팬데믹 대응, 대선 공약 이행이란 명목으로 전·현 정부가 선심성 돈 풀기를 남발한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중앙·지방 정부가 진 빚인 국가채무는 5년 전 660조2000억 원에서 올해 말 1068조8000억 원으로 408조6000억 원 불어나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적자 비율도 36%에서 49.7%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정부는 2년여 전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가 나라 안팎에서 제기되자 재정 건전성 지표가 일정 기준을 넘지 않도록 통제하는 규범인 재정준칙을 도입하겠다고 한 것이다. 하지만 헌법·법률로 기준을 엄격히 규정한 선진국들과 달리 느슨한 기준을 시행령으로 정하기로 했고, 적용 시점도 2025년으로 미룬 맹탕 준칙이었다. 그마저도 국회를 넘지 못하고 자동 폐기됐다.
윤석열 정부는 재정적자를 GDP의 3% 범위 내에서 법으로 관리하도록 한 국가재정법 개정안을 9월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윤석열 예산’ ‘이재명 예산’을 주장하며 힘겨루기를 해온 여야가 이 법안에는 눈길조차 주지 않아 논의 한 번 못 해보고 무산될 위기다. 이렇게 나랏빚 줄이는 데에는 무관심한 여야 의원들이 예산안 통과를 앞두고는 자기 지역구 예산 챙길 궁리를 하고 있다.
과거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때 한국은 탄탄한 재정을 딛고 위기를 넘어섰다. 이번에는 나라 곳간이 심하게 부실해진 상태에서 사상 초유의 글로벌 복합위기를 맞고 있다. 구속력 있는 재정준칙을 올해 만들지 못하면 경기침체가 가속화할 내년 이후에는 더 어려워질 것이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재정이 파탄 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 여야는 당장 재정준칙 도입 논의를 개시해야 한다.
올해 한국의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00조 원을 넘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연속 적자를 내게 된다. 2019년 54조4000억 원이던 적자는 2020년에 갑절 넘게 급증한 뒤 계속 100조 원 주변을 맴돌고 있다. 팬데믹 대응, 대선 공약 이행이란 명목으로 전·현 정부가 선심성 돈 풀기를 남발한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중앙·지방 정부가 진 빚인 국가채무는 5년 전 660조2000억 원에서 올해 말 1068조8000억 원으로 408조6000억 원 불어나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적자 비율도 36%에서 49.7%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정부는 2년여 전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가 나라 안팎에서 제기되자 재정 건전성 지표가 일정 기준을 넘지 않도록 통제하는 규범인 재정준칙을 도입하겠다고 한 것이다. 하지만 헌법·법률로 기준을 엄격히 규정한 선진국들과 달리 느슨한 기준을 시행령으로 정하기로 했고, 적용 시점도 2025년으로 미룬 맹탕 준칙이었다. 그마저도 국회를 넘지 못하고 자동 폐기됐다.
윤석열 정부는 재정적자를 GDP의 3% 범위 내에서 법으로 관리하도록 한 국가재정법 개정안을 9월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윤석열 예산’ ‘이재명 예산’을 주장하며 힘겨루기를 해온 여야가 이 법안에는 눈길조차 주지 않아 논의 한 번 못 해보고 무산될 위기다. 이렇게 나랏빚 줄이는 데에는 무관심한 여야 의원들이 예산안 통과를 앞두고는 자기 지역구 예산 챙길 궁리를 하고 있다.
과거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때 한국은 탄탄한 재정을 딛고 위기를 넘어섰다. 이번에는 나라 곳간이 심하게 부실해진 상태에서 사상 초유의 글로벌 복합위기를 맞고 있다. 구속력 있는 재정준칙을 올해 만들지 못하면 경기침체가 가속화할 내년 이후에는 더 어려워질 것이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재정이 파탄 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 여야는 당장 재정준칙 도입 논의를 개시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삼성 “1분기 돌파구 찾아라”… ‘전시’ 방불케하는 전략회의
- 與 당대표 선거에 결선투표 첫 도입… “친윤 대표 만들기”
- [단독]‘쌍방울 CB 관여’ 2명 영장… “이재명 변호사비 대납의혹 수사 재시동”
- 감사원 “소득-집값-고용 통계조작, 靑개입 의혹” 野 “모욕주기”
- 내달부터 휘발유값 L당 99원 오른다
- 비명계 “총선 대비위해, 이재명 지혜롭게 용퇴해야”
- 지방간 신약 나오나… 3상 성공에 주가 268% 뛴 미국 제약사[딥다이브]
- 전장연, 5호선 광화문역 시위…출근길 혼잡 예상
- 野 신현영, ‘이태원 닥터카 탑승’ 논란에 국조위원 사퇴
- 시진핑의 승풍파랑[횡설수설/이철희]